20. 효열부 연안송씨 기적비(孝烈婦延安宋氏紀蹟碑)
운영자 23-12-22 14:20 68 hit
【위치】 성수면 좌산리 319-3. 중기마을 어귀 가외반로변.
【시기】 1966년
【형태】 비 주변은 벽돌 담장으로 둘려 있다. 비갓과 대석(臺石)이 있다. 비신(碑身) 높이 180cm, 너비 50cm, 두께 21cm.
【개요】 연안송씨는 뒤 김석봉의 모친이다. 비(碑) 주인공의 신상(身上)과 사적(事績)은 비문(碑文)에 실려 있다.

【비문】 夫人姓宋氏 籍延安 我朝文科禮曹判書諱寶山號退休齋后 泰喆女 瑞興金氏參議諱中坤后 時權妻也 生有淑德 在家事父母孝 適人事舅姑 亦如之 養志無違 菽水盡誠 夫以擧業 早遊京師 因以不返 聲息頓絶 夫人以靑年時節 生離所天 非孀而孀 幼子錫鳳 乳哺無知 家如懸磬 飢寒難堪 而母子相依 固守蓬戶 以傭縫紡織僅僅保命 而舅姑喪 盡其哀 葬與祭 盡其禮 常願夫子之生還 禱山祈水 祝天拜星 爲一生事 其子稍長 亦感於是 事母至孝 順志不咈 光武六年壬寅 全州希堂道會時 全北各郡儒林代表 五十三人 及全州南原鎭安鄕校 儒生 齊聲發文 仰稟于所居地 鎭安郡守題曰 一家孝烈 有是母有是子 爲鄕隣矜式 令人欽歎 襃揚之節 益俟公議事 其後載三綱錄 其孫士文 將立石于村右路邊 以闡揚其祖妣之孝烈事 其族叔眞燮 齎四郡通文 來謀於余 余謹按其蹟而欽歎曰 噫夫人 不以夫不在而孝衰於舅姑 不以貧窮而有二心 抱徹天之恨 而隱忍自重 潔身俟命 傭縫雇績 養老育幼 全平生之大節 保一家之門戶 使幾絶之祀 措之於泰山之安 孝且烈 孰大於是 使婦女子聞之 頑可潔懦可立 大韓民國四十八年 丙午 冬至節 陜川 李英浩 撰
【풀이】 부인(夫人)의 성은 송씨(宋氏)요 적(籍: 관<貫>)은 연안(延安)이니 아조(我朝)의 문과(文科) 예조판서 휘 보산(寶山) 호 퇴휴재(退休齋)의 후손인 태철(泰喆)의 따님이자 서흥김씨(瑞興金氏) 참의(參議), 휘 중곤(中坤)의 후예인 시권(時權)의 처이다. 낳으면서부터 숙덕(淑德)이 있어 친가(親家)에 있어서는 부모를 효성으로 섬겼고 출가해서는 시부모를 또 똑같이 섬겨 뜻을 받드는 데에 어김이 없었고 음식 공양에도 정성을 다하였다. 부군(夫君)이 과거 공부를 하려고 일찍 서울에 유학(遊學)하다가 그 길로 돌아오지 않고 소식마저 끊겨버렸다. 부인이 젊은 시절에 남편과 생이별을 하였으니 과부아닌 과부였고 어린 아들 석봉(錫鳳)은 젖먹이의 철부지였으며 집안은 가난하여 네 벽만이 서 있고 속은 텅 비어 기한(飢寒)을 견디기 어려웠으나 모자가 서로 의지하여 오막살이를 굳게 지키고 삯바느질과 길쌈으로 근근이 목숨을 부지하였으나 시부모의 상에는 슬픔을 다하였고 장사(葬事)와 제사에는 예(禮)를 다하였다. 항상 부군이 살아서 돌아오기만을 바라고 산에 빌고 물에 빌며 하늘에 빌고 별에 비는 것으로 일생동안 일을 삼았다. 그 아들도 조금 자라자 여기에 감동하여 어머니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기고 뜻을 받들어 어기는 일이 없었다. 광무(光武) 6년 임인(壬寅: 광무 6, 1902)에 전주(全州) 희당(希當)의 도회(道會) 때에 전북 각 군의 유림대표 53인과 전주 남원(南原) 진안의 향교(鄕校) 유생(儒生)이 연명(聯名)으로 발문(發文)하여 소거지의 관장(官長)에게 앙품(仰稟)하니 진안군수가 제사(題辭)하기를 “한 집안이 효열(孝烈)하여 이러한 어머니와 이러한 아들이 있어 고을의 긍식(矜式)이 되었으니 사람으로 하여금 흠탄(欽歎)하게 하나 포양(褒揚)하는 절차는 공의(公議)를 더 기다려 볼 일” 이라 하였는데 그 뒤에 삼강록(三綱錄)에 실리게 되었다. 그 손자 사문(士文)이 마을 오른쪽 길 가에 돌을 세워 그 할머니의 효열사적을 천양(闡揚)하려고 할 때에 그의 족숙 진섭(眞燮)이 4군(郡)의 통문(通文)을 가지고 나를 찾아와 상의하여 나는 조심스레 그 사적을 훑어보고 마음으로 흠탄하였다. 아, 부인은 부군이 없다하여 시부모에게 효성이 덜하지 않았고 집이 가난하다고 하여 두 마음을 가지지 않았다. 철천지한을 품고서도 은인 자중하여 자신을 지키면서 천명(天命)을 기다렸고 삯바느질과 길쌈으로 어른 봉양하고 어린이를 길렀다 평생의 대절(大節)을 온전히 하고 한 집안을 보전하여 거의 끊길 번한 종사(宗祀)를 태산(泰山)처럼 안전하게 하였으니 효성과 정열이 무엇이 이보다 크겠는가 부녀자들이 들으면 완악한 사람 정숙해지고 나약한 사람 굳세어질 것이다. 대한민국 48년(1966) 병오 동지절 합천 이영호(李英浩) 찬(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