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표】 孝子仁同張公烘相之碑(효자인동장공홍상지비)
【비표】 孝子仁同張公志仲之碑(효자인동장공지중지비)
【위치】 진안읍 탄곡길[가림리] 탄곡마을 진입로변.
【시기】 1959년
【형태】 비 주변은 벽돌 담장으로 둘려 있다. 비신(碑身)은 석곽(石廓) 안에 들어 있다. 비신 높이 150cm, 너비 45cm.
【개요】 이 비들은 좌측으로부터
-
【비표】 學生兆陽林公諱正淳配孺人沃川陸氏孝行碑(학생조양임공휘정순배유인옥천육씨효행비)
【위치】 진안읍 가림리 선인동에서 사인동으로 넘어가는 얕은 고개 좌측 도로변
【시기】 1987년
【형태】 비 주변은 석제 담장으로 둘려 있다. 비갓과 대석(臺石)이 있다. 비신 높이 155cm, 너비 55cm, 두께 23cm.
【개요】 비(碑) 주인공의 신상(身上)과 사적(事績)은 비문(碑文)에 실려 있다.
【비문】 朱子曰人道는 莫大於三綱이라 하고 曰事孰大焉고 事親爲大라 하니 人能踐履其大者則其他細目은 自然脗合於爲仁之道라 今古以來로 鮮甚其人則果難矣哉而况世値霾曀에 淳朴己散하야 視禮義如弁髦하고 等倫理於芻狗에 有志之士憂心沖沖하야 不禁長太息而有一孺人이 特行古道에 如昏衢之燭大冬之松하야 扶一線之陽於群陰之中하야 以化及於餘人者를 今於沃川陸氏는 德谷諱麗後贊淑女요 兆陽林氏吏部尙書諱八及後士人正淳配에 見之矣라 氏以淑懿嘉柔之德으로 善事父母에 壺儀己成而母氏之病에 裂指注血하야 以致回甦하고 及其笄歸에 産業이 苟艱하야 桂玉難繼라 夫人이 晝以耘耔에 汗流竟趾하고 夜以紡織에 燈火達朝라 和顔順辭로 擧案齊眉하고 事姑嫜에 有陳婦之孝하야 承順無違에 候寒暖養其軆하고 供甘旨適其口하야 庋閣에 不乏珍品이라 昏之定晨而省하고 於祖先之忌에 潔其蘋藻하고 蠲其饎需에 盡如在之誠하고 待夫君에 有冀妻之敬하야 相對如賓에 極其內助하야 使之斷斷學業에 無氄
-
【위치】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산 1-1. 우화산 상부 암벽.
【시기】 1889년
【형태】 암각서(岩刻書)
【개요】 고종 기축(己丑, 1889)년에 현감 김요협(金堯莢)이 고을의 선비 전의호(全懿鎬) 전재택(全載澤)과 이름을 연이어 각하고, 또 “夫士之題名石室 以其功與德而今日不然 吾與二三子暇日咏遊 嘆吾須臾羨彼無窮而記之然得無後日 邵場之譏歟噫”라고 각하였다. 풀이하면 “무릇 선비가 석실에 이름을 새긴 것은 공과 덕이 있어서이나 오늘날은 그렇지 않다. 내가 몇몇 사람으로 더불어 여가를 타서 노닐며 읊나니 우리들의 짧은 인생이 한탄스럽고 자연의 무궁함이 부러워서 기록한 것이나 후일에 소옹(邵雍, 송나라 때 문인)이나 양웅(揚雄, 한나라 때 문인) 같은 사람의 나무람이 없으리라고 단정할 수야 있겠는가”라는 뜻이다.
-
【위치】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산 1-1 우화산 암벽.
【시기】 불명
【형태】 암각서(岩刻書)
【개요】 가학(駕鶴)이란 학을 타고 노닌다는 뜻이니 신선이 노닌다 해서 명승이나 정자가 있는 곳에 이런 이름을 붙이는 것이 통례다. 실제로 이 앞에는 옛 우화정이 있었다가 퇴락한 것을 등성이 너머에 중건하였다. 가학대 왼쪽 옆에는 영모대(永慕臺)라 하여 천안전씨 세거에 관한 사항이 각자되어 있다.
-
진안읍 군상리 우화산 중턱에 있는 비석군. 우화산 비석군은 원래 진안군청 청사 뜰에 있었으나 진안군청 청사를 신축할 때 앞산인 우화산으로 옮겨놓았다. 비석군은 우화산 기슭에 남-북 방향으로 총 12기가 있으며, 대부분 지방관의 불망비와 선정비 등이다. 좌로부터 전종렬 기념비, 조연명 모성애사비, 조병화 영세불망비, 민달용 영세불망비, 정직조 영세불망비, 서상정 영세불망비, 이복신 영세불망비, 임희진 영세불망비, 이승소 청백선정비, 이단화 청덕선정비, 정철모 선정비, 조병섭 영세불망비 등이 있다.
-
(前面長全公鍾烈記念碑)
【비표】 前面長全公鍾烈記念碑(전면장전공종열기념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920년
【형태】 높이 90cm, 너비 36cm, 두께 10cm.
【개요】 전종열(全鍾烈)은 일제 초기 진안면장이었다.
-
【비표】 縣監趙侯然明慕聖愛士碑(현감조후연명모성애사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57년
【형태】 높이 101cm, 너비 50cm, 두께 9cm.
【개요】 조연명(趙然明)은 진안현감으로 1834년 1월에 부임하여 1836년 2월에 삼등으로 전임하였다. 비표(碑表)로 보아 향교를 중수한 듯 하다.
-
【비표】 縣監趙侯秉和永世不忘碑(현감조후병화영세불망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불명
【형태】 높이 152cm, 너비 56cm, 두께 14cm.
【개요】 조병화(趙秉和)는 진안현감이었다. 1867년 7월에 부임하여 1864년 6월에 고성으로 전임하였다.
-
【비표】 御使閔公達鏞永世不忘碑(어사민공달용영세불망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57년
【형태】 높이 117cm, 너비 47cm, 두께 12cm.
【개요】 민달용(閔達鏞, 1802년(순조 2)~미상)은 1858년(철종 9)에 전라좌도암행어사(全羅左道暗行御史)가 되어, 각 지방 관리들의 비리를 적발하였다. 1861년(철종 12)에는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중국을 다녀왔다.
-
【비표】 御使鄭公稷朝永世不忘碑(어사정공직조영세불망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69년
【형태】 높이 139cm, 너비 54cm, 두께 19cm.
【개요】 정직조(鄭稷朝, 1817~1881)는 1868년(고종 5) 암행어사(暗行御史)로 다녀와 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 나갔다. 1869년(고종 6) 이조참의(吏曹參議)가 되었다. 1871년(고종 8) 봉산군수(鳳山郡守)로 나갔다. 1875년(고종 12) 대거승지(對擧承旨)로서 가자(加資)되었다. 1879년(고종 16)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이르렀다.
-
【비표】 觀察使徐公相鼎永世不忘碑(관찰사서공상정영세불망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69년
【형태】 높이 139cm, 너비 54cm, 두께 12cm.
【개요】 서상정(徐相鼎, 1813.8월 23일 ~ 1876년 7월 13일)은 영의정 심재 서용보의 종손이고, 갑신정변의 주역인 개화파 서광범의 삼종조부, 서재필의 종증조부뻘 되는 친척이기도 하다. 1848년(헌종 14년) 응제에 합격하여 바로 직부전시의 자격이 부여되고, 그 해의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은 자헌대부 지경연춘추관사 겸 동지성균관사에 이르렀다. 지방관으로 전라도관찰사 재직 시 선정을 베풀어 두 번이나 연임되었다.
-
【비표】 縣監李侯復信永世不忘碑(현감이후복신영세불망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27년
【형태】 높이 141cm, 너비 53cm, 두께 15cm.
【개요】 이복신(李復信)은 진안현감으로 1867년 1월에 부임하여 1872년 6월에 이임하였다.
-
【비표】 縣監林侯喜鎭永世不忘碑(현감임후희진영세불망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56년
【형태】 높이 152cm, 너비 56cm, 두께 14cm.
【개요】 임희진(林喜鎭)은 진안현감으로 1856년 8월에 부임하여 1857년 7월에 봉고파직되었다.
-
【비표】 縣監李侯承沼淸白善政碑(현감이후승소청백선정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55년
【형태】 높이 134cm, 너비 42cm, 두께 18cm.
【개요】 이승소(李承沼)는 진안현감으로 1850년 7월에 부임하여 1853년 1월에 용담으로 전임하였다.
-
【비표】 縣監李侯端和淸德善政碑(현감이후단화청덕선정비)
【위치】 진안읍 군상리 산1-1 우화산 옥류천 좌측 중턱 우화산 비석군 내.
【시기】 1859년
【형태】 높이 140cm, 너비 51cm, 두께 12cm.
【개요】 이단화(李端和)는 진안현감으로 1857년 12월에 부임하여 1858년 8월에 재령군수와 자리바꿈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