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유산]→[비석(암각서)]→[마령면 편]
  • ⇒ [문화유산]→[비석(암각서)]→[성수면 편]
  • ⇒ [문화유산]→[비석(암각서)]→[용담면 편]
  • 진안읍 군하리 253-8번지 일원 성뫼산에 있는 삼국시대 석성. 성뫼산성은 진안천과 마이산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소하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동쪽 성뫼산(353.2m) 정상에 있다. 성의 형태는 배[舟] 모양으로 둘레는 479.5m이며, 테뫼식 석성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 내부에는 너비 4m의 토루가 있으며, 남문과 북문이 있고 동벽 중앙에 동문지가 있다. 『조선 보물 고적 조사 자료』에 의하면 ‘석축을 하고 길이는 약 270간이며 우물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 내부에는 평탄한 건물 대지가 있었고, 다수의 백제 기와와 토기 편들이 채집되었다. 진안은 백제 때 난진아현(難珍阿縣)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성뫼산성은 그 치소지로 생각된다. 그러나 진안 체육공원이 조성되면서 대부분 파괴되었다. 성뫼산성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산 정상부에 월랑공원과 진안군 문예체육회관이 건립되면서 성벽의 흔적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성 내부에서는 백제 기와와 토기 편들이 산재해 있고, 백제 때 난진아현으로 비정되고 있어 그 현의 치소성으로 판단된다. 성뫼산성은 남쪽으로는 국도 26호선과 고속국도 20호선이 동-서로 지나며, 국도 30호선이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는 지점에 있다. 청소년수련관 남서쪽의 산봉우리 월랑공원과 문예체육회관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 성뫼산성이 있던 곳이다.【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1989년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에서 발행한 『진안 지방 문화재 지표 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성 내부에는 백제 시대 와편과 토기편이 산재해 있었으며 우물 터와 건물지 등이 추정된 바 있다. 한편 1960년대 전영래가 조사한 내용을 2003년 한서고대학연구소에서 『전북 고대 산성 조사 보고서』를 발행하였는데 조사 당시에도 건물지와 백제 시대 토기편 등이 산재해 있었다. 위 두 권의 보고서에서는 ‘성묘산 성지, 성묘산성’으로 보고되었으며, 2006년 전주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발행한 『문화유적 분포지도-진안군』에서는 ‘성뫼산성’으로 보고되었다.【현황】성뫼산성의 정상부는 월랑공원과 문예체육회관 등의 시설이 건립되어 성벽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우물지로 추정되는 지름 3m의 석축호가 확인되었으며, 성 안과 그 주변에는 백제 시대의 기와와 토기 편들이 산재해 있다. 『여지도서』에 주목할 만한 기록이 실려 있는데, ‘읍산창(邑山倉)’이 그것이다. 예전에 성이 무너진 후 건물만 지어 산창(山倉)으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크다.《참고문헌》鎭安地方文化財地表調査報告書(전북대학교전라문화연구소, 1989)
  • 백운면 임진로 1724[평장리 363-4] 솥내에 있는 전통 옹기 생산 업체. 2017. 6. 29. 진안군 향토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옹기장 이현배가 경영한다. 가마는 여러 차례 옮겨 짓다가 평장리 368-1 자리에 흙가마가 만들어졌다. 이후 1961년에 20m정도 떨어진 평장리 363-4 자리에 다시 등요(登窯)로 이전하였다. 이후 1993년 ‘손내옹기’라는 정식 상호명을 사용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옹기의 근간인 장독을 주요 생산품으로 하면서 다양한 그릇을 함께 만들고 있다. 초대전, 개인전 및 전람회 13회와 단체전 다수에 참여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UNESCO 선정 Award of Excellence for Handicrafts를 통해 유네스코의 인정을 받았다. 2008년~2013년 문화재청 ‘한국 전통문화학교’가 주관하는 “전통공예 기술 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전통 문화[옹기] 전문인력 양성”, 문화재청 ‘나주문화재연구소’가 주관하는 “영산강 유역 대형 전용 옹관 고대 기술 복원”, 문화재청의 “숭례문 복구용 기와 가마 자문 및 조성”, (재)예올, (주)토즈가 주관하는 ‘올해의 마이스터 2010 장인 후원 사업’인 “옹기 식기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전주문화재단 ‘온브랜드 사업단’이 주관하는 “질그릇 식기 개발”과 사우디아라비아 국립박물관이 진행하는 “한국 공예문화전”에 참여하고 있다. ‘롯데백화점’ 본점과 서울 인사동 ‘쌈지길’ 공예 골목의 초대 매장을 운영하였으며 현재는 전주 한옥마을에 매장을 두고 있다. 작업장의 구성은 크게 그릇을 빚는 독막 1동, 건조장 1동, 가마집 1동이 있으며 전통 가마로 주 가마인 등요 1기, 개량[칸]가마 1기, 대형 옹관 가마 1기, 질그릇 가마 1기 등 4기가 있고, 내열류를 굽는 가스 가마가 1기 있다. 현재 상시 다섯 명이 일하고 있으며 일에 따라 두 세 명이 더 하기도 한다. 생산하는 그릇의 종류는 200 여 가지로 소량 생산하는 방식이며 연간 1만 여개를 생산하고 있다. 전화 432-3252《참고문헌》디지털진안문화대전(한국학중앙연구원, http://jinan.grandculture.net/?local→jinan)
  • ⇒ [문화유산]→[서당·정자]→[정자]
  • ⇒ [문화유산]→[서당·정자]→[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