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주군 소양면 신촌리 산 51과, 진안군 부귀면 세동리 산289 일원의 임진왜란 당시 전적지. 2022.12.30. 11필지 232,329㎡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웅치 전적」은 임진왜란 초기(1592년 7월) 전라도를 침략한 왜군에 맞서 관군 및 의병이 민관 합동으로 호남을 지켜낸 ‘웅치 전투’가 발생한 곳으로 호남 방어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초기의 열세를 극복하고 조선군이 결국 승전하게 되는 국난 극복의 전적지로 평가된다. ‘웅치’는 완주군*과 진안군** 사이 고갯길의 지명으로 웅치 일대의 옛길은 전주와 전라도 동부지방인 진안 등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웅치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 진안을 거쳐 전주를 공격해오던 왜군을 진안과 전주의 경계였던 웅치 일대에서 막아서며 전개되었다. 왜군은 결국 웅치를 넘어 전주 부근까지 진출하였으나 전투 과정에서 많은 전력을 상실하여 전면적인 공격을 진행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전주를 공격하여 전라도 일대를 장악하고자 했던 왜군의 전략을 무력화시켰다는 점에서 승패를 떠나 국난 극복의 전적지로서 의미를 가진다. 웅치 전투를 통한 호남 수호 이후, 관군과 의병이 경기도와 경상도로 진출하여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전쟁에 필요한 각종 물자를 호남 지역으로부터 조달하는 등 임진왜란 극복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문화재 지정구역은 ‘웅치 전투’의 장소성을 입증할 수 있는 문헌 기록 및 지명에 대한 자료 등을 통해 주요 전투가 벌어진 지역(웅치길-웅치고개-건지봉)으로 설정하였다.
  • 진안군 중평안길 13 (성수면)에 소재하는 요지. 2019.9.2.2필지 3,691㎡가 사적 제 551호로 지정되었다. 청자요지는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마을에 있는 초기 청자 가마터이다. 이곳에는 청자 조각을 비롯하여 청자를 구울 때 덮는 큰 그릇인 갑발(匣鉢), 가마의 축조 재료인 벽돌 등이 지표에 드러나 있고, 마을 일부에는 도자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도구들이 대규모로 묻힌 퇴적층이 남아 있다. 2013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된 발굴 조사로 이곳이 10~11세기 초기 청자를 생산했던 가마터 임이 확인되었다. 이곳의 가마는 2기로 구성되었다. 전형적인 초기청자 가마의 특징을 보여 주는 2호 가마는 길이가 43m에 달하는데, 처음에 벽돌로 쌓았다가 나중에 진흙 가마로 개축한 것이다. 이 2호 가마는 한 가마가 벽돌 가마에서 진흙 가마로 변화한 과정을 보여 주는 최초 사례일 뿐만 아니라 현재 까지 호남에서 확인된 초기 청자 가마 가운데 최대 규모이다. 2호 가마에 비해 규모가 작은 1호 가마는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진흙과 갑발을 쌓아서 만들었다. 1호 가마의 총 길이는 13.4m이다 도통리 청자요지는 우리나라 초기 청자의 발생 및 청자 가마의 변천 과정을 보여 주는 가마터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9월 2일 국가지정문화재가 되었다.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는 10~11세기에 걸쳐 조성된 초기청자요지로, 벽돌가마와 진흙가마가 모두 확인되어 우리나라 청자의 발생과 전파과정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