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천면 봉학로 152[봉학리 657-10]옆 천변에 있는 정자. 상조림 마을 계곡 천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본래는 명덕정(明德亭)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934년 정은(靜隱) 이병항(李秉恒)선생이 건립하고 인근의 학자들을 초청하여 시문을 짓고 선생이 정은집을 집필하던 곳이다. 이 건물이 퇴락하여 1995년 경에 다시 중수를 거쳤다.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되어 있다. 구조는 콘크리트 기단 위에 콘크리트 기초를 놓고 방형 기둥을 세운 다음 도리와 결구하고 있다. 상부 구조는 단변 방향으로 대들보 위에 대공을 세우고 장변 방향으로 휘어진 곡재로 도리와 보의 기능을 겸한 부재를 대고 추녀와 서까래를 올렸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으로 골함석 지붕으로 마감하였다.
  • 백운면 반송리 659, 마을 앞 천변에 위치한 정자. 2016. 12. 28 진안군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867년에 김혁장이 기술한 ‘학남정서’에 1867년에 중수했다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도 선행 정자가 있었던 모양이다. 누정은 전면 1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원래는 점판암 너와 지붕이었으나 1970년대에 시멘트 기와로 교체되었다고 한다. 초석이 사각형 위에 원주형 반장대석 형식으로 교체된 듯 하고 마루는 우물 마루였으나 장마루로 교체되었다고 추정한다. 왜냐면 장마루 아래에 원래 우물 마루 가설 시 사용된 장귀틀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사각형 위에 원형의 반장대석 주초를 두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렸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정자로 앞에 흐르는 내를 고려해서인지 높이 가설되었다. 기둥에 마루를 끼울 귀틀을 끼우고 그 위에 중하인방을 끼웠으며 중하인방과 마루가설용 귀틀 사이에 연주문의 장식이 간간히 남아 있다. 마루는 원래 우물 마루였으나 장마루로 교체하였고 창방과 도리장여 사이에 소로를 끼운 소로수장집이다. 건물의 앞뒤를 잇는 큰 대들보를 자연스럽게 1개 걸었고 4면의 추녀를 중심으로 선자연으로 서까래를 설치하였다. 기둥과 창방, 중하인방, 서까래 등은 석간주가칠을 하였고 각 부재의 마구리 부분은 흰색으로 칠하였다. 지붕은 팔작지붕이지만 서까래의 결구 형식으로 보면 모임 지붕이거나 우진각 지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홑처마 민도리 수장집이면서도 추녀에 활주를 세운 특징이 있다.정자의 마루면이 높히 가설되었기 때문에 지면에서 정자에 오르는 계단이 원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방부목을 사용하여 계단을 두었다. 주초석 역시 근래에 다시 끼워 넣은 것으로 추정되며 지붕에도 변형이 있다고 본다. 또한 마루도 우물마루였던 것이 장마루로 교체되었다. 정자 안에는 김혁장(金赫璋)이 찬한 학남정 서[鶴南亭序]와 장규찬(張奎燦)이 찬한 ‘학남정상량문’, 박연창(朴淵昌)이 쓴 ‘학남정’ 현판 그리고 다수의 시운(詩韻) 판액(板額)이 걸려 있다.

    【鶴南亭序】 鎭之南有鶴南亭 蓋取諸東坡生日鶴南飛之意也 夫鶴之爲物, 可以喩至誠之道, 故繫于易以其子和之詠於詩而聲聞于天. 凡天下萬物之理, 有誠則感, 有感則通. 噫, 感通之竗, 人無彼我之間, 地無遠近之隔, 而有聲相應 氣相求之理, 則應君子之在鎭南而作是亭者, 亦豈非□孚於天而修稧於懸弧之日, 經營於開眼之下也哉? 余以聚奎之歲升諸司馬而□亭亦重修, 而以天中節設落成宴, 稧中諸益, 懇余參同, 而聲應氣求之感, 且及於余, 余何敢□, 且夫水石之奇, 槐松之茂, 足爲一區名勝, 而以其初構之心, 有此重修之擧, 則與其新構之時, 同也. 其設是宴也, 固宜然(?)而古人之臺榭林亭, 刊於名園□區者何限, 而浩劫千載, 盡爲邱墟, 欲其新亭之久久存存, 而其於海塵, 何哉? 余登斯亭, 執盞而祝之曰, 我亦稧中子也, 繼祈□之志, 守肯構之誠, 則庶乎斯亭之爲鶴南者, 在後猶今也. 歲 丁卯(1867) 也養 金赫璋 書.
    【학남정 서】 진안의 남쪽에 학남정이 있는데 대체로 소동파(蘇東坡)의 생일에 학이 남쪽으로 날아간 옛 일*의 뜻을 취한 것이다. 학이라는 동물은 지성(至誠)의 도(道)를 비유할 수 있기 때문에 『주역(周易)』의 계사(繫辭)에 실려 있고 그 새끼가 화답한 것을 『시경(詩經)』에서 노래하였으며 우는 소리가 하늘에까지 들린다고 하였다. 무릇 천하 만물의 이치는 성(誠)이 있으면 감응(感應)하고 감응이 있으면 소통(疏通)하는 것이니, 아 감응하고 소통하는 오묘함은 사람들에게 피아(彼我)의 차이가 없고 땅에 원근(遠近)의 간격이 없어서, 소리가 서로 응하고 기(氣)가 서로 구하는 이치가 있는 것이다. 군자가 진안 남쪽에 있으면서 이 정자를 지은 것도 또한 하늘에 미더움이 통하여 태어난 생일에 계(契) 모임을 갖고 눈만 뜨면 보이는 곳에 경영한 것이 아니겠는가? 나는 규성(奎星)이 모인 해*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고 이 정자를 중수(重修)하였으며 단오절(端午節)에 낙성연(落成宴)을 열었는데, 계중(契中)의 여러 벗들이 나에게 함께 참석하도록 간청하여 소리가 응하고 기가 구하는 느낌이 나에게까지 미쳤으니 내가 어찌 사양하겠는가. 그리고 또 기이한 수석(水石)과 무성한 괴송(槐松)이 족히 한 구역의 명승(名勝)이 되기에 충분하고, 처음 정자를 짓던 마음으로 이렇게 중수하는 일을 하였으니 새로 지은 때와 똑같은 것이다. 이 잔치를 연 것이 참으로 마땅하고 옛사람이 대사(臺榭)와 임정(林亭)을 이름난 곳에 지은 것이 어찌 한둘 뿐이겠는가마는 천년의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모조리 언덕이 되어버렸으니 이 정자를 오래오래 남아있게 하고 싶더라도 해진(海塵)*에 대해서는 어찌하겠는가? 내가 이 정자에 올라 술잔을 잡고 축원하기를, “나도 또한 계원의 한 사람이니 기원(祈願)한 뜻을 계승하고 긍구(肯構)하려는 정성을 지키면 아마 이 정자가 학남정(鶴南亭)이 된 것이 훗날에도 지금과 똑같으리라. 정묘년(1867) 야양(也養) 김혁장(金赫璋)*이 쓰다.
    *소동파(蘇東坡)의……옛 일: 송(宋)나라 소식(蘇軾)이 생일에 적벽(赤壁) 아래에서 술자리를 베풀고 거나하게 취하여 높은 봉우리에 걸터앉아 학 둥지를 내려다보고 있는데, 강의 상류 쪽에서 피리 소리가 들려왔다. 사람을 시켜 가서 알아보게 하였더니, 진사 이위(李委)라는 이가 소식의 생일에 ‘학이 남쪽으로 날아가다’라는 뜻의 〈학남비(鶴南飛)〉라는 신곡(新曲)을 지어서 소식에게 바치는 것이라 하였다.
    *규성(奎星)이 모인 해: 송(宋)나라 태조(太祖) 건덕(乾德) 5년에 수, 화, 금, 목, 토 다섯 별이 규성의 별자리에 모인〔五星聚奎〕 일이 있었는데, 당시 복자(卜者)가 이것을 인재가 많이 배출될 조짐이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해진(海塵): 창해(滄海)의 먼지[塵]이라는 뜻으로, 바닷물이 전부 말라버려 흙먼지가 일어남을 비유한다.
    *김혁장(金赫章, 1797[정조 21]~1882[고종 19], 자는 봉주(奉周), 호는 야양재(也養齋). 본관은 금산으로 금산군(錦山君) 신(侁)의 후손이다. 장수 신기촌에서 출생하였고, 진안 마령 평지리에서 살았다. 증조는 부호군 평(平), 조는 상옥(相沃), 부는 성진(性眞)이며, 처부는 조영완(趙榮玩)이다.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1862년(철종 13년) 충청도를 비롯하여 전라․경상도에서 삼정(三政)의 문란에 항의하는 민란이 발생하였을 때, 그에 대한 대책을 서술하여 상소하였다. 또한 1866년(고종3년) 병인양요가 일어나 민심이 흉흉할 때 척양문을 지어 민심을 바로잡으려 하였다. 이도복(李道復)이 묘표를 찬하였다.

    【鶴南亭上樑文】 伏以 老少同志之人 玆以弧辰鳩聚 山水登臨之處 翼然亭子鶴飛 己覺東坡仙遊 更進南州人物 僉主人 鄕黨達尊之齒 學館生進之名 洛南涯洛北涯 人皆知溫石之里 楊東巷楊西巷春不鎖元白之隣 信友孝親 不翅居相近性相近 家詩戶禮 聿覩兄爲難弟爲難 所嗟吾生須曳 難免輪廻之劫 安得勝地佳麗 以爲棲息之階 幸逢朝野昇乎之時 獲遂林亭咸集之計 唐學士之香社 不遑治石室之功 宋君子之耆英 未暇傳給圖之事 念舊俗 切魚面之會 而新築 逢龍江之邊 雙尖之馬耳屹如 風景擅一鄕之形勝 八公之螺鬟隱若 煙嵐聳萬古之觀瞻 溪山縈紆 奚但地靈之告吉 木石俱備 抑亦人謀之克藏 肆是度而是尋 遂爰居而爰處 槐門柳逕 眞是山野之風流 石瓦松欄 實非公卿之臺榭 星聚百里 共吾儕少戊靑襟 山名九仙 誠此地同庚白髮 朝廷之縉紳或咏 方知兪長水李慶平諸函 溪堂之文酒相尋 每遇金雲館鄭綺園者類 展也寰中之別界 超然物外之仙區 可以樵可以漁 坐擁十里平野 是乎風是乎浴 俯挹一帶長川 顧道士曰 笑乎可想淸溪之消息 問主人兮 誰也自饒赤壁之前緣 恭成短引 助擧修樑 兒郞偉抛樑東 仙閣歸雲指顧中 淸明時節紛紛雨 亭外桃花强半紅 抛樑西 萊芩初月入簾低 歸臥山亭秋水隔 十年書刀夢依迷 抛樑南 龍江水色碧於藍 一望常山多隱見 行人日夕許停驂 抛樑北 羽化睡仙臨斗極 嗟我晩生琴酒筵 每依明月問消息 抛樑上 雲白山靑天宇曠 戞然孤鶴長鳴過 若遇蘇仙眞骨相 抛樑下 盤溪曲曲抱村瀉 人生感物非徒斯 蚯垤蟻封皆類也 伏願上樑之後 亭額載新石齒不老 山巾野服 好作平地神仙 墨客文人 共添滿壁書盡 名焉玆以 吾所志喜 登斯也者 孰不仰瞻 歲在丁卯端陽 南坡張奎燦撰
    【풀이】 생각건대, 노소(老少)의 뜻을 같이하는 사람은 여기 호신(孤辰, 생일날)에 모였고, 산수(山水)의 등림(登臨)하는 곳에는 날렵한 정자 학이 나는 듯하다. 이미 동파(東坡, 소식[蘇軾]의 호)의 선유(仙遊)임을 알았는데, 다시 남주(南州)의 인물들이 모였다. 첨주인(僉主人)은 향당(鄕黨)에서 달존(達尊)의 연세요, 학관(學館, 성균관을 뜻함)에선 생원 진사의 명인(名人)들이다. 낙수(洛水)의 남쪽 비탈과 북쪽 비탈은 사람들이 모두 온석(溫石)의 마을임을 알고 버들의 동쪽 골목과 서쪽 골목은 봄이 원백(元白, 원진[元禛]과 백거이[白居易])의 이웃에 성큼 다가섰다. 신우(信友) 효친(孝親)하니 거주가 가깝고 천성이 가까울 뿐만이 아니라 가시(家詩) 호례(戶禮)하니, 이에 난형난제(難兄難弟)임을 알겠노라. 서글픈 것은 우리 인생 잠깐이면 윤회(輪廻)의 겁운(劫運)을 면할 수 없는데, 어떻게 하면 아름다운 승지(勝地)를 얻어 서식(棲息)하는 계제로 삼을 수 있을 건가? 다행히 조야(朝野)가 태평할 때를 만나 임정(林亭)에서 모두 모일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당학사(唐學士)의 향사(香社, 향산사[香山社])는 석실(石室)을 마련할 겨를이 없었고, 송군자(宋君子)의 기영(耆英, 기영회[耆英會])은 도서(圖書)를 전해줄 기회가 없었다. 옛 풍속을 생각하니 어면(魚面)의 모임이 간절했고, 그러나 신축(新築)은 용강(龍江)의 언저리를 얻게 되었다. 쌍으로 뾰족한 마이산의 높다란 풍경은 한 고을의 형승(形勝)을 독점하였고, 팔공산(八公山)의 산세는 어슴프레 하여 운연(雲煙)은 만고의 경관(景觀)이 뛰어났다. 시내와 산줄기 휘감았으니 어찌 지령(地靈)이 길지(吉地)를 알릴 뿐이었겠는가? 목재와 석재 다 구비하였는데 인모(人謀) 역시 잘도 어울렸단다. 이에 재고 헤아려서 마침내 이곳에 거처하게 되었는데, 괴문(槐門) 유경(柳逕)은 참으로 산야(山野)의 풍류이나 석와(石瓦) 송란(松蘭)은 실은 공경(公卿)의 정자가 아니었다. 별은 백리(百里)에서 모였으니, 우리들은 모두 소무(少戊, 미상)의 선비들이요, 산 이름 구선(九仙)이니 모두가 이 곳의 동갑내기 백발이라네. 조정의 진신(縉紳)들도 혹 창영(唱詠)하였는데, 비로소 유장수(兪長水)·이경평(李慶平)의 문주(文酒) 서로 찾으니 김운관(金雲館)·정기원(鄭綺園)의 부류일세라. 참으로 역중(域中)의 별천지요, 뛰어난 세상 밖의 선구(仙區)로다. 나무도 하고 고기도 잡고 앉아서 10리의 평야를 껴안았고, 바람도 쏘이고 멱도 감으며 숙여서 한 줄기 장천(長川)을 움켜쥐었다. 도사(道士)를 돌아보니 우습게도 청계(淸溪, 이백[李白]이 노닐던 시내 이름)의 소식을 상상케 하는데, 주인에게 묻노니, 그 누가 적벽(赤壁, 양자강가에 있는 절벽으로 소동파[蘇東坡]가 노닐면서 적벽부[赤壁賦)를 지어 유명하다)의 지난날 인연을 가졌다 하던가? 공손히 단인(短引, 짧은 시)을 지어 들보 올리는 일을 돕노라. “아랑위(兒郞偉) 동쪽 들보 올리니 / 선각(仙閣. 선각산)의 귀운(歸雲)이 안계(眼界)에 있구나. / 청명(淸明) 철의 부슬부슬 내리는 비에 / 정자 밖 복숭아꽃 반절 남짓 피었구려. / 아랑위 서쪽 들보 올리니 / 내동산 초승달이 처마 끝에 낮게 들어오네. / 돌아와 산정(山亭)에 누웠으니 가을물 가로막았는데 / 10년의 서검(書劍, 하찮은 기술) 생활 꿈속에도 아스라하네. / 아랑위 남쪽 들보 올리니 / 용강(龍江)의 물빛이 쪽물보다 푸르네. / 상산(常山)을 바라보니 다분히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데 / 행인들 낮이나 밤이나 말을 멈춰 세우고 바라보네. / 아랑위 북쪽 들보 올리니 / 우화(羽化)한 신선의 졸음 북두(北斗)에 다달았네. / 슬프다, 우리 후생의 금주(琴酒)자리에선 / 매양 명월(明月)에 의지하여 신선 소식 묻는구나. / 아랑위 윗쪽 들보 올리니 / 구름은 희고 산은 푸르며 하늘은 널따랗다. / 끄르륵 외로운 학 길게 울고 지나가니 / 소선(蘇仙, 소동파)의 진면목을 보는 듯하구려. / 아랑위 아랫쪽 들보 올리니 / 반계(盤溪)는 굽이굽이 마을을 안고 흐르네. / 인생이 사물을 보고 느끼는 건 이것들만이 아니라 / 구질(蚯垤, 지렁이가 땅속에서 나오면서 만들어 놓은 흙무덤)과 의봉(蟻封, 개미의 집. 개미무덤. 아주 작은 흙무덤을 지칭한 말) 모두가 그러하다네. / 엎드려 바라옵건대 / 들보를 올린 뒤에는 정자의 현판 새로워지고 돌의 나이도 늙지 않으며, 산건(山巾)과 야복(野服)으로 평지의 신선이 되고 묵객(墨客)과 문인(文人)은 모두 벽의 서화(書畵)에 오르게 하소서.” 이름내기 좋아하여 나의 기쁨을 적나니 여기에 오르는 사람 뉘라서 우러르지 않을손가. / 정묘(丁卯, 1927) 단양(端陽)에 남파(南坡) 장규찬(張奎燦)이 찬(撰)하다.


    시운(詩韻) 판액(板額) ①
    中臺水石擅東西 羽化亭南鶴影低 疇昔風儀蘭社榭 卽今花樹武陵溪
    古人淸債鈞遺䪨 吾輩弧辰共品題 有笛聲飛仙復返 老松千載白雲迷
    松嶠 金赫容
    중대산(中臺山, 팔공산) 수석이 동서에 으뜸이고,
    우화정(羽化亭) 남쪽에 학 그림자 낮구나.
    옛날엔 풍의(風儀)가 난사(蘭社)의 정자요,
    지금은 화수(花樹)가 무릉(武陵)의 시내일세.
    고인의 맑은 빚*이 남긴 시운(詩韻)에 전해져,
    우리들이 생일날 함께 품평을 하였노라.
    피리 소리에 신선이 날아갔다 돌아오고,
    노송은 천년 동안 백운 속에 희미하네.
    송교(松嶠) 김혁용(金赫容)
    *맑은 빚: 원문의 청채(淸債)는 청정채(淸淨債)의 준말로, 좋은 경관을 보면 좋은 시를 지어 보답해야 하는 빚을 말한다.


    畵榭玲瓏仙閣西 倚空招鶴白雲低 名湖百里南通峽 老木千章下夾溪
    蘇子當年知有笛 蘭亭後輩惜無題 新詩華額銘留在 鴻瓜雪泥久不迷
    丁卯 天中節 竹波 金赫象
    그림같은 나무들이 선각산 서쪽에 영롱하고,
    허공에 기대어 학을 부르니 백운이 낮구나.
    백리나 되는 명호는 남쪽으로 산골에 통하고,
    천 그루 늙은 나무들이 협곡으로 내려가네.
    소자(蘇子, 蘇軾)는 당년에 피리가 있는 줄 알았을까,
    난정(蘭亭)의 후배는 글제가 없음이 아쉽노라.
    새로 지은 시를 멋진 판액(板額)에 새겨 남겨두니,
    눈밭의 기러기 발자국처럼 오래도록 뚜렷하리.
    정묘년(1867) 단오[端午:天中節] 죽파(竹波) 김혁상(金赫象)



    翼然亭起濟龍西 雙閣諸峰在地低 學士風流前赤壁 道翁消息又淸溪
    讓人仙趣歸先輩 故我詩痴請後題 檻外飛湍鳴石齒 笛中遺響聽依迷
    也養齋 金赫璋
    날아갈 듯한 정자를 제룡강(濟龍江) 서쪽에 세우니,
    쌍각(雙閣)에 산봉우리들이 땅바닥에 나지막하네.
    학사(學士)의 풍류는 예전의 적벽(赤壁)이고,
    도옹(道翁)의 소식은 또 맑은 시냇물이네.
    선취(仙趣)는 선배에게 돌아가도록 양보하고,
    내 시는 바보 같아서 뒤에 써달라고 청하네.
    난간 밖의 빠른 여울 돌에 부딪치며 흐르고,
    피리 속에 남은 메아리가 아련하게 들리네.
    야양재(也養齋) 김혁장(金赫璋)


    山盡東南水盡西 危樓縹緲半空低 鶴棲松畔雲三逕 龍臥橋頭雨一溪
    綠酒華欄歸客晩 荒苔古璧碩人題 逍遙筇屐重來見 風物無非遠積迷
    壬寅秋 皓溪 金善經
    산은 동남에서 다하고 물은 서쪽에서 다하니,
    높다란 누대가 희미하게 허공에 나지막하네.
    학이 깃든 솔숲 가에 구름이 세 갈래 길이고,
    용이 누운 다리 끝에 시냇물 한 줄기 흐르네.
    멋진 집에 맛난 술 있어 길손이 늦게 돌아가고,
    빛바랜 이끼 덮힌 옛 벽에 명사가 시를 썼네.
    지팡이 짚고 둘러보다 다시 와서 바라보니,
    풍물이 전부 멀리에서 아스라이 쌓여왔구나.
    임인년 가을 호계(皓溪) 김선경(金善經)


    羽化之南開眼西 新亭鶴舞白雲低 岸如赤壁因多石 欄似孤舟傍小溪
    酒得笙歌又更快 詩兼圖畫滿相題 也知吾輩同眞樂 歲歲弧辰醉不迷
    丁卯 五月 斗村 金興均
    우화정 남쪽에서 서쪽이 눈에 띄여,
    새 정자에 학이 춤추고 백운이 나지막하네.
    벼랑은 적벽(적벽)처럼 돌덩이가 많고,
    난간은 외딴 배처럼 작은 시내에 붙었네.
    술은 생황 노래를 얻으니 또 다시 빨라지고,
    시는 도화를 겸하니 상에 가득하게 써있네.
    우리가 모두 함께 참다운 즐거움을 알았으니,
    해마다 생일에 모여서 얼큰하게 취해보세.
    정묘년 5월 두촌(斗村) 김흥균(金興均)

    ⑥ 次鶴南亭韻
    洞門遠闢水東西 鶴影千年復且低 人皆社下無雙士 亭是湖南第一溪
    如從仙分酬前債 更覩塵寰有此題 萍跡三生緣底事 回頭斜日夢魂迷
    丁丑(1877)仲春 知縣 李益應
    학남정의 시를 차운하다[次鶴南亭韻]
    동네 입구에서 멀리 냇가 동서쪽에 지었으니,
    학의 그림자가 천년 뒤에 다시 낮아졌노라.
    사람은 모두 사하(社下)의 둘도 없는 선비들이고,
    정자는 곧 호남에서 첫째가는 시냇가에 있노라.
    선분(仙分)*을 따라 전날의 빚을 갚고 싶어서,
    다시 진환(塵寰, 세상)을 바라보며 이 시를 쓰네.
    삼생을 부평초같이 살아온 이유가 무엇이련가,
    고개 돌려 지는 해 바라보니 몽혼(夢魂, 꿈속의 넋)이 희미하네.
    정축년(1877) 중춘(仲春) 지현(知縣) 이익응(李益應)
    *선분(仙分): 신선 인연〔仙分〕이란 신선이 살 만한 곳과의 인연을 말한다. 풍광이 뛰어난 곳을 구경할 수 있는 인연은 아무나 누릴 수 없다고 생각하여 이곳이 마치 전에 미리 약속이나 한 듯이 친숙하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紅亭高出白雲西 海屐登登野日低 柳外鷄聲來遠店 松間鶴氣映淸溪
    昔人盃酒何其壯 此地風烟盡入題 鬂髮蕭條歸未得 江南山水夢中迷
    壬寅 暮春 晉陽人 小石 鄭彰鎔
    붉은 정자가 백운 서쪽에 높게 솟았으니,
    나막신 끌고 오르면 들판에 해가 낮노라.
    버들 너머엔 닭소리가 먼 주막에서 들려오고,
    솔숲 사이엔 학의 기개 맑은 시내에 비치네.
    옛사람의 술자리는 어찌 그리 장(壯)하였나,
    이 곳의 풍연(風煙)이 모두 시에 들어있네.
    쓸쓸히 늙어가는 내 신세 돌아가지 못하니,
    강남 땅의 산수(山水)가 꿈속에 아스라하네.
    임인년(壬寅年)* 모춘(暮春) 진양인(晉陽人) 소석(小石) 정창용(鄭彰鎔)
    *임인년(壬寅年)이 1902인지 1962년인지 분명하지 않다.


    南飛鶴返杜陵西 千載一亭雲影低 隱若曲樑龍濟洞 翼如危檻鳥聲溪
    同庚蘭稧多眞樂 雌甲桂癯且戱題 却向後人良用意 永今書盡醉塵迷
    丁卯端陽 松隱 崔鳳燁
    남쪽으로 날아간 학이 두릉(杜陵, 두원마을) 서쪽에 돌아오니,
    천년에 하나뿐인 정자에 구름이 낮게 비치네.
    숨은 듯한 들보엔 용이 동리(洞里)를 건너고,
    나는 듯한 난간엔 새소리가 시냇가에 들리네.
    동갑 친구들 계모임은 참다운 즐거움이 많고,
    늙은 이 동갑내기도 서로 웃으며 시를 짓노라.
    후세 사람들아 부디 마음을 선량하게 써서,
    오늘 쓴 글 다하도록 아리송한 세상에 취하게나.
    정묘년 단양(端陽) 송은(松隱) 최봉엽(崔鳳燁)
  • 마령면 강정리 가림천변 마이산 암벽이 약간의 공간을 이룬 곳에 세운 정자. 전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1982년 전중권(全中權)이 부친 영창(永昌), 친부* 영철(永轍), 계부(季父) 영룡(永龍)을 추모하여 건립하였다. 정자내에는 건립자 전중권의 ‘형남정 기’ 송승환의 ‘형남정 상량문’등이 걸려있다.
    *전중권(全中權)은 영철(永轍)에게서 출생하였으나 영창(永昌)으로 출계(出系)하였다.

    【荊南亭記】 程子曰 水不忍廢地不忍 荒古人 崇德慕賢之意 固如斯而况諸先子所指點棲止而杖屨徜徉地者乎 伏惟我 皇考諱永昌號南隱生考諱永轍號南岡季父諱永龍號南坡諸府君三位一軆風神灑落容止汪洋人稱三鳳而事親之孝出於天性志物備養愛敬極至篤於學問昆季一室聯槧攻苦而不貪不躐讀多自然曉爲鐵則日征月邁見解透明文藝贍富而尤長詩徫黃繭幼婦之辭爲人欽服名重鄕黨然世途岌嶪絶意場屋怡神養性於烟雲樹竹之間影不出山跡不八俗偸閒獵靜翛然濁世之表萬物莫能攖焉以敬義二字爲律身治心之單方有時誦歸去耒辭及正氣歇以泄慷慨欝欝之氣常戒不肖曰天道無親常與善人福善禍滛理之自然汝等必以昭烈帝勿以善小不爲惡小爲之爲師範無負世傳之青氊尺度焉甞有志於築一亭子觀書玩理問難觧惑評花品石消遣世慮以爲晩暮游息之所而不肖誠淺力微且以爲百歲在前早晩何傷恃而不懼矣仁天不佑隙狗迅駛奄遭風樹之痛其一亭之微不能成就以違所志者如此况乎奉先事長之道修身齊家之訓知行一致之教未能遵守其萬一罪極盖壌遂猛加省察紆籌乗除又經數周星霜不肖己至望九衰齡若此延拖則必竟其成無日乃小小亭舍僅僅建立於三位佳城咫尺之地然諸府君不在矣其春風沂水之樂徘徊焉觴詠焉呼朋喚友訓迪兒孫望之泰山喬嶽卽之玉温金精之聲音顔色無以瞻仰於亭之上亭之有無於諸府君無有輕重亭自嵬然獨存其不免乎假飾外貌以稱譽於他人者明矣嗚呼痛矣天乎天乎何以則使諸府君英靈雖夢昧間駕黃鶴乗赤鯉降此亭而洋洋嘯詠自樂以叙前所懷之一端乎謹書數行略伸悲感之萬一繼之詩曰, 顚顚肯搆一亭成 風樹悲懷日益生 製作矮厪由蔑力 規模拙劣亦無誠 屏間逗遛青山色 檻外嬋娟活水明 猥此令辰功告日 諸賢枉顧也光榮. 檀紀四千三百十五年 壬戌 初秋 旣望 不肖子 中權 盥手謹記.
    【형남정 기】 정자(程子)가 말하기를, “우물을 차마 묻어 버릴 수 없으며 땅을 차마 내버려 둘 수 없다.”라고 하였으니 옛사람들이 덕을 숭상하고 현자를 사모한 마음이 참으로 이와 같았다. 하물며 여러 선조가 장소를 골라 살면서 왕래하고 거닐던 곳에 대해서야 무슨 말을 하겠는가. 삼가 생각건대 우리 황고(皇考)이신 휘(諱) 영창(永昌) 호(號) 남은(南隱)과 생고(生考)이신 휘 영철(永轍) 호 남강(南岡)과 계부(季父)이신 휘 영룡(永龍) 호 남파(南坡) 세 부군(府君)은 똑같이 풍신(風神)이 쇄락(灑落)하고 용모가 왕양(汪洋)하여 사람들이 세 봉황이라고 불렀다. 어버이를 섬기는 효성이 천성(天性)에서 나와 마음과 물질의 봉양을 다 갖추었으며 사랑과 공경이 지극하였다. 학문을 연마하는 데 독실하여 형제가 한 방에서 책상을 잇대어 놓고 피나게 공부하였으나 많이 알려고 욕심 부리지 않고 과정을 뛰어넘지 않았으며 읽으면 자연히 깨닫는 것을 철칙으로 삼아 날로 익히고 달마다 매진하여 견해(見解)가 투철해졌다. 문예文藝)가 풍부하였으며 시율(詩律)의 절묘한 말에 더욱 뛰어나서 사람들로부터 흠모를 받고 이름을 향당(鄕黨)에 떨치셨다. 그러나 세상이 위태로워져서 과거(科擧)에는 마음을 끊고 산림 속에서 조용히 심성을 양성하면서 산을 벗어나지 않고 속세로 들어가지 않으며 한가롭고 고요함을 즐기고 혼탁한 세상의 바깥에 조용히 계시니 만물(萬物)이 이를 막지 못하였다. 경(敬)과 의(義) 두 글자를 몸을 통제하고 마음을 다스리는 단방(單方)으로 삼으셨으며 때로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낭송하셨다. 정기(正氣)가 다하여 강개(慷慨)하고 울적한 기운이 새어 나올 때에는 늘 나에게 경계하기를, “천도(天道)는 어느 한쪽을 편들지 않아서 언제나 선인(善人)을 돕는 법이니 선인에게 복을 주고 음란한 사람에게 화를 내리는 것은 자연의 이치이다. 너희들은 반드시 소열 황제(昭烈皇帝勿 한 고조 유방(劉邦))이 말한 ‘작은 선이라고 해서 하지 않거나 작은 악이라고 해서 하는 짓을 하지 말라.’는 말을 사범(師範)으로 삼아서 대대로 전해오는 가문의 보물 같은 준칙을 저버리지 말라.”라고 하셨다. 일찍이 정자(亭子) 하나를 짓고 글을 보며 이치를 탐구하여 난제(難題)를 연구하고 의혹을 해결하고 꽃과 돌을 품평하며 세상 근심을 씻고 노년을 유식(遊息)할 장소로 삼고자 하셨다. 그러나 나의 정성과 노력이 미천하였고 또 남은 날이 창창하여 조금 늦더라도 문제가 없을 거라며 믿고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진 하늘이 도와 주지 않아 세월이 바람처럼 흘러 갑자기 운명하시는 아픔을 당하고 말았다. 정자 하나를 짓는 작은 일도 성취하지 못해서 어버이의 뜻을 어긴 것이 이와 같은데 하물며 선조를 받들고 웃사람을 섬기는 도에 있어 수신제가(修身齊家)의 훈계와 지행일치(知行一致)의 가르침에 대해서 그 만에 하나라도 준수하지 못한다면 그 죄는 하늘과 땅에 가득할 것이다. 마침내 맹렬히 성찰하고 계획을 세웠으나 또 몇 년이 지나 내가 이미 망구(望九)의 늙은이가 되고 말았다. 이렇게 지연하다가는 필경 이룰 날이 없을 것이다. 이에 작디작은 정자를 세 분의 분묘(墳墓)가 지척에 있는 곳에 겨우 건립하였으나 세 부군(府君)께서는 거기에 계시지 않으셨다. 봄바람 쐬며 냇물에서 목욕하고 노래 부르며 돌아오던 그 세 분의 즐거움으로 정자 주위를 배회하고 술잔을 들고 노래하여 보았으나, 벗들을 부르고 자손을 가르치던 그 모습, 멀리서 바라보면 태산(泰山)처럼 높고, 가까이 가서 보면 옥처럼 온화하고 쇠처럼 맑던 그 음성과 안색을 정자 위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정자가 있고 없고는 세 분 부군에게는 아무런 차이가 없으니 겉치레에 열중하여 타인에게 칭송을 바란 꼴이 되고 말았다. 아, 애통하다. 하늘이여, 하늘이여. 어떻게 하면 세 부군의 영령(英靈)께서 꿈속에서라도 황학(黃鶴)을 타고 적리(赤鯉)를 타고 이 정자에 내려와 양양하게 노래를 읊조리고 즐기면서 이전의 소회의 일단이라도 펼치게 할 수 있겠습니까. 삼가 몇 줄의 글을 적어 비통한 감개의 만에 하나나마 펴고 이어서 시를 적는다. 전전긍긍하여 선조의 뜻을 계승하여 정자 하나 지으니, / 어버이 생각하는 비통한 감회 날마다 더욱 새롭다. / 규모가 왜소한 것은 힘이 부쳐서이고, / 모양새가 졸렬한 것은 정성이 없기 때문. / 담 사이에는 푸른 산빛이 머물고, / 난간 밖에는 맑은 물빛이 선연하다. / 외람되게 낙성(落成)을 고하는 이 좋은 날, / 여러 현자들 찾아 주어 영광이로다. 단기4315(1982)년 임술 7월 16일 불초자(不肖子) 중권(中權) 손씻고 삼가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