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일권姜壹權 : 본관은 진주. 은렬 민담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에 (蔭仕로) 도사를 지냈다. /貫晉州 殷烈民聸后 高宗朝 都事

    고봉주高奉柱 : 호는 송서. 본관은 장흥. 장흥군 복림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가선대부였다. /號松墅 貫長興 長興君福林后 資嘉善

    고택진高宅鎭 : 본관은 제주. 문영공 용현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 (蔭仕로) 중추원의관을 지냈다. /貫濟州 文英用賢后 高宗朝 中樞院議官

    고학충高學忠 : 본관은 제주. 문영공 용현의 후손으로서 숭정대부 동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濟州 文英用賢后 崇政同知中樞府事

    김광려金光麗 : 본관은 사천. 병조판서 오매당 만서의 10세손으로서, (蔭仕로) 한성좌윤을 지냈다. /泗川人 兵判寤寐堂晩緖十世孫 行漢城左尹

    김교성金敎性 : 본관은 경주. 제숙 균의 후손이며 송연재의 문인으로서, 고종 때에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慶州人 齊肅균后 宋淵齋門人 高宗朝參奉

    김교원金敎元 : 자는 선량. 본관은 경주. 계림군 곤의 후손으로서 88세를 누렸으며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善良 慶州人 鷄林君稇后 享年八十八 通政大夫

    김교재金敎載 : 자는 사청. 본관은 경주. 계림군 곤의 후손으로 (蔭仕로) 가선대부였다. /字四淸 慶州人 鷄林君稇后 資嘉善

    김기주金基柱 : 자는 여경. 본관은 경주. 효자 명오의 현손으로서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字汝卿 慶州人 孝子鳴五玄孫 官參奉

    김범렬金範烈 : 본관은 사천. 판서 만서의 후손으로 (蔭仕로) 조봉대부동몽교관이었다. /泗川人 判書晩緖后 朝奉大夫童蒙敎官

    김상원金相元 : 본관은 광산. 공안 겸광의 후손으로서 호는 춘수. 92세를 누렸으며 철종 때 통정대부 중추부사 부호군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光山 恭安謙光后 號春睡 享年九十二 哲宗朝 通政大夫中樞府事副護軍

    김수갑金壽甲 : 자는 수장. 본관은 김해. 흥무 왕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용양위부호군을 지냈다. /字壽長 金海人 興武王后 龍驤衛副護軍

    김영두金永斗 : 자는 태경. 본관은 광산. (蔭仕로) 통정대부돈령부도정이었다. /字台敬 光山人 資通政大夫敦寧府都正

    김영록金永祿 : 본관은 사천. 병조판서 만서의 후손이며 한성좌윤 광려의 아들로서 가선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泗川人 兵判晩緖后 漢城左尹光麗子 資嘉善

    김영학金永學 : 자는 화경. 본관은 광산. (蔭仕로) 통정대부돈령부도정이었다. /字華敬 光山人 資通政大夫敦寧府都正

    김원흥金遠興 : 본관은 광산. 진사 종원의 손자로서 (蔭仕로) 통정대부였다가 돈령도정에 올랐다. /光山人 進士宗元孫 通政陞敦寧都正

    김은성金恩聲 : 자는 대지. 본관은 연안. 문정공 자지의 후손으로서 80세를 누렸다. 통정대부 용양위부호군 동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大之 延安人 文靖自知后 享年八十 通政行龍驤衛副護軍 陞同知中樞府事

    김의순金義淳 : 본관은 김녕. 백촌 문기의 후손으로서 고종 임인년 (蔭仕로) 주사에 임명되었다. /貫金寧白村文起后 高宗壬寅 敍主事

    김재룡金宰龍 : 본관은 사천. 병조판서 오매당 서의 5대손으로서, (蔭仕로) 부안현감을 지냈다. /泗川人 兵判 寤寐堂晩緖五代孫 行扶安縣監

    김종명金鐘鳴 : 자는 여현. 호는 호월. 본관은 김해. 현감 현택의 손자이며 감역 봉배의 아들로서, (蔭仕로) 의금부도사를 지냈다. /字汝賢 號湖月 金海人 縣監顯澤孫 監役鳳培子 義禁府都事

    김종진金鍾振 : 자는 옥현. 호는 성산. 본관은 김해. 현감 현택의 손자이며 진사 학배의 아들이다. (蔭仕로) 후릉참봉에서 비서승에 올랐다. /字玉賢 號聲山 金海人 縣監顯澤孫 進士鶴培子 行厚陵參奉 陞秘書丞

    김주흠金周欽 : 호는 추호. 본관은 낙안. 양혜 윤길의 후손으로서 고종 무술년에 (蔭仕로) 주사에 임명되었다. /號秋湖 貫樂安 襄惠贇吉后 高宗戊戌 敍主事

    김진의金鎭義 : 호는 용암. 본관은 의성. 영의정 거익의 후손으로서, 고종 갑신년에 (蔭仕로) 의금부도사를 지냈다. /號龍菴 貫義城 領相居翼后 高宗甲申 義禁府都事

    김창묵金昌黙 : 자는 내현. 본관은 김해. 87세를 누렸다. 통정대부 동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乃賢 金海人 享年八十七 通政大夫 同知中樞府事

    김창삼金昌三 : 본관은 김해. 문민공 일손의 후손으로서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金海人 文愍馹孫后 通政大夫

    김창용金昌容 : 자는 문경. 본관은 경주. (蔭仕로) 건릉참봉을 지냈다. /字文卿 慶州人 健陵參奉

    김현택金顯澤 : 자는 군호. 본관은 김해. (蔭仕로) 음죽과 양천현감을 지냈다. /字君浩 金海人 行陰竹 浪川縣監

    동경수董敬壽 : 본관은 광천. 문의공 일원의 후손으로서 100세를 넘게 누렸다.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廣川人 文毅一元后 享年百餘 通政

    문유성文惟性 : 자는 호기. 호는 남강. 본관은 남평. 강성군 익점의 후손으로 (蔭仕로) 가선대부를 지냈다. /字浩基 號南岡 南平人 江城君益漸后 資嘉善

    박기래朴箕來 : 본관은 밀양. 낙촌 충원의 후손으로서 통정대부 가선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密陽人 駱村忠元后 通政大夫 陞嘉善

    박상윤朴相允 : 본관은 함양. 함양군 인계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참봉 겸 의금부도사였다. /咸陽人 咸陽君仁桂后 參奉兼義禁府都事

    박수현朴秀鉉 : 자는 치선. 본관은 순천. 취금헌 팽년의 후손으로서, 고종 갑신년에 숭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致善 貫順天 醉琴軒彭年后 高宗甲申 崇政大夫

    박영석朴永錫 : 자는 국빈. 본관은 밀양. 규정 현의 후손이며 진사 승수직 가선대부 기인의 아들로서, (蔭仕로) 혜민원주부를 지내다 중추원의관으로 승진하였다. /字國斌 密陽人 糾正鉉后 進士陞壽職嘉善基仁子 行惠民院主事 陞中樞院議官

    박정섭朴正燮 : 자는 덕보. 본관은 밀양. 충정공 세균의 후손으로 (蔭仕로) 도사를 지내다가 돈령도정으로 올랐다. /字德甫 密陽人 忠靖世均后 都事 陞敦寧都正

    박제창朴齊昌 : 본관은 반남. 평도 은의 후손이며 경수의 아들로서 고종 을사년에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貫潘南 平度訔后 璟壽子 高宗乙巳 參奉

    박제칠朴齊七 : 본관은 반남. 문강공 야천 소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 (蔭仕로) 주사를 지내다가 승사랑에 올랐다. /貫潘南 文康冶川紹后 高宗朝主事 陞承仕郞

    박한진朴漢鎭 : 본관은 밀양. 낙촌 충원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선공감가감역을 지냈다. /密陽人 駱村忠元后 行繕工監假監役

    배달홍裵達弘 : 자는 원여. 본관은 성주. 정절 극렴의 후손으로서 고종 병자년에 (蔭仕로) 가선대부였다. /子元汝 貫星州 貞節克廉后 高宗丙子 資嘉善大夫

    백낙구白樂九 : 자는 경칠. 호는 월파. 문경공 휴암 인걸의 후손이며 도사 낙원의 동생이다. (蔭仕로) 통정대부 동부승지에 올랐다. /字敬七 號月波 水原人 文敬休庵仁傑后 都事樂元弟 陞通政大夫同副承旨

    백낙원白樂元 : 자는 경원. 호는 만회당. 본관은 수원. 문경공 휴암 인걸의 후손이며 치수의 아들로서, (蔭仕로) 충훈부도사를 지냈다. /字敬元 號晩悔亭 水原人 文敬休庵仁傑后 治洙子 忠勳府都事

    백남인白南仁 : 자는 익진. 본관은 수원. 충숙공 정신재 장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혜릉참봉을 지내다가 통훈대부승훈랑으로 올랐다. /字益進 水原人 忠肅靜愼齋莊后 惠陵參奉 陞通訓大夫承訓郞

    백남표白南杓 : 자는 운재. 본관은 수원. 문경공 휴암 인걸의 후손이며 도사 낙원의 아들로서, (蔭仕로) 중추원의관을 지내다가 통정대부에 올랐다. /字云哉 水原人 文敬休庵仁傑后 都事樂元子 中樞院議官 陞通政

    백정기白定基 : 본관은 수원. 충숙공 정신재 장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진안군주사에 임명되어 전북도청주사에서 부안군수를 지냈다. /水原人 忠肅靜愼齋莊后 敍任鎭安郡主事 以全北道廳主事 行扶安郡守

    서달회徐述曾 : 자는 경함. 호는 정재. 본관은 이천. 절효 릉의 후손이며 승지 덕린의 아들로서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字敬涵 號靜齋 利川人 節孝稜后 承旨德麟子 贈戶曺參判

    서덕린徐德麟 : 자는 사묵. 호는 겸재. 본관은 이천. 절효 릉의 후손으로서 통정대부 승지의 수직(壽職)이 내려졌다. /字士黙 號謙齋 利川人 節孝稜后 通政資承旨

    소진섭蘇鎭燮 : 본관은 진주. 문정공 세양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貫晉州 文靖世讓后 高宗朝 參奉

    손경석孫敬奭 : 호는 덕암. 본관은 밀양. 밀성군 빈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오위장에서 종이품에 올랐다. /號德菴 密陽人 密城君斌后 五衛將同知 陞從二品

    송경철宋京喆 : 자는 명준. 본관은 연안. 벽상공신 연안부원군 경의 후손이며 규복의 아들로서, 통정대부 동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明俊 延安人 壁上功臣延安府院君卿后 奎復子 通政同知中樞府事

    송낙철宋洛喆 : 자는 중지. 본관은 연안. 판서 보산의 후손이며 규신의 아들로서 (蔭仕로) 영릉참봉을 지냈다. /字中之 延安人 判書寶山后 奎新子 行寧陵參奉

    송일대宋一大 : 본관은 은진. 증 호조판서 덕정의 아들로서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恩津 贈戶判德鼎子 通政

    송진표宋鎭杓 : 자는 영집. 본관은 여산. 둔학 경원의 후손으로서 80세를 누렸다. 통정대부 가선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永執 礪山人 遯壑慶元后 享年八旬 通政陞嘉善

    송치호宋致浩 : 자는 성필. 본관은 여산. 둔학 경원의 후손이며 가선대부 진표의 아들로서,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字成必 礪山人 遯壑慶元后 嘉善鎭杓子 參奉

    壽職

    신기辛麒 : 자는 시응. 본관은 영산. 문헌공 장의 9세손으로서, (蔭仕로) 사헌부 감찰을 지냈다. /字時應 靈山人 文憲藏九世孫 司憲府監察

    안경렬安鏡烈 : 본관은 죽산. 죽성군 문혜공 원형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가선대부였다. /貫竹山 竹城君文惠元衡后 資嘉善

    안명선安命善 : 본관은 죽산. 문성공 유의 후손이며 증직 가선대부 봉구의 아들로서, 고종 계묘년에 가선대부 장례원협판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竹山 文成裕后 贈嘉善鳳九子 高宗癸卯 嘉善掌禮院協判

    안봉제安鳳濟 : 본관은 죽산. 죽성군 원형의 후손으로서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竹山 竹城軍遠衡后 通政

    안상렬安尙烈 : 본관은 죽산. 문성공 유의 후손이며 죽성군 문혜공 원형의 18세손이다. (蔭仕로) 감찰을 지냈다. /貫竹山 文成裕后 竹城君文惠元衡十八代孫 監察

    안영환安永煥 : 본관은 죽산. 죽성군 원형의 후손으로서 고종 계사년에 부호군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竹山 竹城君元衡后 高宗癸巳 副護軍

    안진대安鎭大 : 본관은 죽산. 죽성군 원형의 후손으로서 고종 계사년에 부호군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竹山 竹城軍遠衡后 高宗癸巳 副護軍

    안찬술安纘述 : 본관은 죽산. 죽성군 원형의 후손으로서 오위장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竹山 竹城君元衡后 五衛將

    안창렴安昌濂 : 본관은 죽산. 문성공 유의 후손이며 죽성군 문혜공 원형의 17세손이다. (蔭仕로) 도정을 지냈다. /貫竹山 文成裕后 竹城君文惠元衡十七代孫 道正

    안창열安昌悅 : 본관은 죽산. 죽성군 문혜공 원형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가선대부였다. /貫竹山 竹城君文惠元衡后 資嘉善

    안창욱安昌郁 : 본관은 죽산. 문성공 유의 후손이며 죽성군 문혜공 원형의 17세손으로서 (蔭仕로) 도정을 지냈다. /貫竹山 文成裕后 竹城君文惠元衡十七代孫 道正

    안창희安昌禧 : 호는 국사. 본관은 죽산. 문성군 유의 후손이며 죽성군 원형의 17대손으로서, 고종 임인년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號菊史 貫竹山 文成裕后 竹城君元衡十七代孫 高宗壬寅 嘉善同知

    양재만梁在晩 : 자는 내윤. 본관은 제주. 학보 팽손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통훈대부였다. /字乃允 濟州人 學圃彭孫后 資通訓

    양홍창梁弘昌 : 자는 여장. 본관은 남원 문양공 성지의 7대손이며 처사 응춘의 아들로서 (蔭仕로) 제용감 판관 겸 군자감봉사를 지냈다. /字汝揚 南原人 文襄誠之七代孫 處士應春子 官濟用監 判官兼軍資監奉事

    오상권吳相權 : 자는 도형. 호는 묵재. 본관은 함양. 이조판서 팽숙의 후손으로서 장릉참봉에 추증되었다. /字道亨 號黙齋 咸陽人 吏判彭淑后 贈章陵參奉

    오상길吳相吉 : 자는 경옥. 호는 양포. 본관은 함양. 함양부원군 광휘의 후손이며 진사 도한의 아들로서, 고종 병술년에 (蔭仕로) 선공감가감역을 지냈다. /字景玉 號陽圃 咸陽人 咸陽府院君光輝后 進士道漢子 高宗丙戌 行繕工監假監役

    오성철吳成哲 : 자는 성우. 본관은 함양. 이조판서 팽숙의 10대손이며 참봉 형의 7대손으로서, 80년을 살았다. 고종 병자년에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成祐 咸陽人 吏判彭淑十代孫 參奉珩七代孫 享年八旬 高宗丙子 資通政

    오익령吳益齡 : 본관은 함양. 이조판서 팽숙의 6대손이며 참봉 형의 증손으로서, 숙종 무자년에 통정대부 절충장군 용양위부호군의 (壽職이) 내려졌다. /咸陽人 吏判彭淑六代孫 參奉珩曾孫 肅廟戊子 通政陞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

    오정렬吳正烈 : 자는 남거. 본관은 함양. 이조판서 팽숙의 후손이며 진사 도한의 손자로서 고종 병오년에 (蔭仕로) 진안군주사 판임4등으로 서임되었다. /字南擧 咸陽人 吏判彭淑后 進士道漢孫 高宗丙午 行鎭安郡主事 敍判任四等

    오형吳珩 : 본관은 함양. 이조판서 팽숙의 증손이며 문좌랑 세득의 손자이다. 참봉 인수의 아들로서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咸陽人 吏判彭淑曾孫 文佐郞世得孫 參奉麒壽子 行參奉

    왕정의王廷儀 : 본관은 개성. 통정대부 생립의 8대손이며 부호군 원득의 손자로서 고종 계묘년에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貫開城 通政生立八代孫 副護軍元得孫 高宗癸卯 參奉

    원세중元世重 : 본관은 원주. 원산군 황의 후손으로서 가선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原州 元山君滉后 資嘉善

    윤재현尹在鉉 : 본관은 파평. 월담 의립의 9세손이며 가선대부 세칠의 현손으로서 가선대부 오위장의 (壽職이) 내려졌다. /坡平人 月潭毅立九世孫 嘉善世才玄孫 嘉善大夫 五衛將

    이기병李祺炳 : 본관은 전주. 덕흥부원군 초의 후손으로서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全州 德興大院君岧后 嘉善同中樞

    이도李燾 :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보의 후손으로 (蔭仕로) 성균관전적과 충청도사를 지냈다. /全州人 孝靈大君補后 成均館典籍 忠淸都事

    이병구李炳九 : 자는 춘화. 본관은 공주. 임령대군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궁내부주사를 지냈다. /字春華 全州人 臨寧大君后 宮內府主事

    이봉도李鳳瓙 : 본관은 전의. 충경공 정란의 9세손으로 (蔭仕로) 교관이었다. /全義人 忠景廷鸞九世孫 官敎官

    이상영李尙榮 : 자는 도현. 본관은 경주. 익재 제현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궁내부 주사를 지냈다. /字道玄 慶州人 益齋齊賢后 宮內府主事

    이우보李宇甫 : 자는 원보.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보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字元甫 全州人 孝寧大君補后 司憲府監察

    이정립通德郞李廷立 : 천성이 순효하며 향년80 기해년에 회혼례를 올렸다. /壽職 /天性純孝 享年八十 己亥行回婚禮

    이직副護軍李稷 : 정립의 아들이다. 인효하며 또한 수를 누렸다. 경오년 회혼례를 올렸다. /廷立子也 仁孝且壽 庚午繼行回婚禮

    이창순李昌淳 : 자는 춘보.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보의 후손이며 득철의 아들로서,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春甫 全州人 孝寧大君補后 得哲子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五衛將

    이학수李學秀 : 자는 경조. 본관은 전주. 비서감 승해 충의 아들로서, (蔭仕로) 의금부도사를 지냈다. /字京祚 全州人 秘書監 丞海忠子 義禁府都事

    이해충李海忠 : 본관은 전주. 임령대군의 후손으로서 비서감승에 추증되었다. /全州人 臨寧大君后 贈秘書監丞

    임경원林璟王原 : 본관은 은진. 갈천 훈의 후손으로서 숭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恩津 曷川薰后 崇政大夫

    임병하林炳夏 : 본관은 나주. 몽촌 타의 9세손으로서 고종 임자년에 음사로 참봉이 되었다. /貫羅州 夢村瑞九世孫 高宗壬子 蔭參奉

    임사은任思殷 : 본관은 풍천. 어은 정신의 9세손으로 도정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豊川 漁隱鼎臣九世孫 都正

    임재온林載溫 : 자는 경재. 본관은 조양. 조양군 세미의 후손으로 (蔭仕로) 통정대부였다. /字慶哉 兆陽人 兆陽君世味后 資通政

    임지수林止洙 : 호는 농암. 본관은 나주. 이조참의 몽촌 타의 후손으로서, 고종 무술년에 회혼을 맞았다. 가선대부 동돈령부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號農巖 貫羅州 吏議夢村瑞后 高宗戊戌回근 嘉善同敦寧

    임지원林智遠 : 자는 효직. 본관은 나주. 이조참의 몽촌 타의 5세손이며 노암 취업의 손자로서 가선대부 첨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孝直 貫羅州 吏議夢村瑞五世孫 老巖就業孫 嘉善僉中樞

    임충상林忠相 : 본관은 나주. 이조참의 몽촌 서의 8세손이며 첨추 지원의 증손으로서, 고종 갑신년 회혼을 맞고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羅州 吏議夢村瑞八世孫 僉樞智遠曾孫 高宗甲辰回근 通政

    임홍상林弘相 : 호는 춘강. 본관은 나주. 모와 호진의 손자로서 고종 정축년에 (蔭仕로) 참봉이었다가 선략부사과에 올랐다. /號春崗 貫羅州 慕窩濠鎭孫 高宗丁丑參奉 陞宣略副司果

    임활林活 : 자는 이원. 찰방 홍유의 아들로서 (蔭仕로) 통정에서 군수에 이르렀다. /字而源 貫羅州 察訪弘儒子 通政官至郡守

    장석보張錫輔 : 호는 송계. 본관은 덕수. 이조판서 양의 후손으로서 형조참판에 추증되었다. /號松溪 德水人 吏判良后 贈刑曺參判

    전경석全鯨錫 : 자는 운집. 호는 강촌.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서 통정대부에 추증되었다. /字雲集 號江村 天安人 大號軍克禮后 贈通政大夫

    전경조全景祥 : 호는 송헌.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현손이며 현감 두의 아들로서, 선조 때 (蔭仕로) 중훈대부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號松軒 天安人 大護軍克禮玄孫 縣監斗子 宣祖朝 中訓大夫 行司憲府監察

    전규철全圭喆 : 자는 내섭. 본관은 천안. 예빈사 주부 규의 11대손으로서 (蔭仕로) 진안군 통신원 주사를 지냈다. /字乃燮 天安人 禮賓寺主簿奎十一代孫 行鎭安郡通信院主事

    전두全斗 : 본관은 천안. 문평공 문식의 후손이며 대호군 극례의 증손으로서, 명종 때 (蔭仕로) 통정대부 진보현감을 지냈다. /天安人 文平文軾后大護軍克禮曾孫 明廟朝 通政大夫 行眞寶縣監

    전만석全萬錫 : 자는 치경.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서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字致京 天安人 大戶君克禮后 贈嘉善大夫戶曺參判

    전복규全復奎 :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레의 후손으로서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추증되었다. /天安人 大護軍克禮后 贈通政大夫 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

    전봉규全奉奎 : 자는 구범.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서(蔭仕로) 장릉참봉을 지냈다. /字球範 天安人 大護軍克禮后 長陵參奉

    전세헌全世憲 : 자는 내행.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서, 가선대부 절충장군 용양위부호군 돈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乃行 天安人 大護軍克禮后 嘉善折衝將軍 龍驤衛副護軍 同知中樞府事

    전영국全永國 : 자는 찬범. 호는 석일.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통신원주사 통정대부을 지냈다. /字贊範號石一 天安人 大護軍克禮后 行通信院主事 陞通政

    전응유全應禎 : 자는 길보. 본관은 천안. 규암 계종의 손자로 (蔭仕로) 승훈랑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字吉甫 天安人 葵菴繼宗孫 承訓郞 行司憲監察

    전이신全以信 : 본관은 천안. 문평공 문식의 후손이며 대호군 극례의 손자이고, 사직 자양의 아들이다. (蔭仕로) 장사랑 참봉이 되었다. /天安人 文平文軾后 大護軍克禮孫 司直自讓子 行將仕郞參奉

    전익준全翊俊 : 자는 보일. 호는 위암. 본관은 천안. 문평공 문식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통신원 주사로 있으면서 군수서리의 업무를 취급했다. /字輔一 號韋菴 天安人 文平文軾后 行通信院主事 以暑理郡守事務取扱

    전재석全載錫 : 자는 내범.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중추부사와 오위장을 지냈다. /字乃範 天安人 大護軍 克禮后 中樞府事 五衛將

    전재윤全載允 : 자는 윤집. 호는 이암.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이며 통정대부 광진의 아들로서, 광무 계해년에 (蔭仕로) 통정대부 비서원 비서승을 지냈다. /字允集 號駬菴 天安人 大護軍克禮后 通政光震子 光武癸卯 通政大夫 陞秘書院秘書丞

    전창섭全昌爕 :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후손으로 (蔭仕로) 통정대부 비서원 비서감승을 지냈다. /天安人 大護軍 克禮后 資通政秘書院秘書監丞

    전태경全泰慶 : 자는 공선. 본관은 천안. 통상 동흘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온릉참봉이었다. /字公先 天安人 統相東屹后 溫陵參奉

    전효래全孝萊 : 자는 경원. 본관은 천안. 대호군 극례의 9대손이며 83세를 누렸다.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敬源 天安人 大護軍克禮九代孫 享年八十三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

    전희권全凞權 : 자는 경진. 본관은 천안. 규암 계종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선략도사 겸 부사과를 지냈다. /字慶珍 天安人 葵菴繼宗后 行宣略都事兼副司果

    정규상丁奎相 : 본관은 의성. 좌찬성 영손의 후손으로서 고종 임인년 (蔭仕로) 주사에 임명되었다. /貫義城 左贊成令孫后 高宗壬寅 敍主事

    정몽량丁夢良 : 본관은 의성. 이조판서 현의 후손으로서 정조 때 (蔭仕로) 가선대부 첨중추에서 자헌대부에 올랐다. /貫義城 吏判炫后 正廟朝嘉善僉中樞 陞資憲

    정선발鄭善發 : 자는 군충. 본관은 경주. 대제학 지년의 6대손으로서 용양위부호군 첨지중추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君忠 慶州人 大提學知年六代孫 行龍驤衛副護軍 僉知中樞府事

    정성수鄭成綏 : 자는 순경. 본관은 동래. 익혜 난종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純慶 東萊人 翼惠蘭宗后 高宗朝通政

    정용규鄭龍奎 : 자는 군서. 본관은 경주. 대제학 지년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돈령부도정을 지냈다. /字君瑞 慶州人 大提學知年后 敦寧府都正

    정우성鄭友成 : 자는 광춘. 본관은 경주. 대제학 지년의 후손이며 도정 용규의 손자로서 (蔭仕로) 주사에 임명되었다. /字光春 慶州人 大提學知年后 都正龍奎孫 敍主事

    정한명丁漢明 : 본관은 의성. 좌찬성 영손의 후손으로서, 고종 기축년에 (蔭仕로) 사헌부 감찰을 지냈다. /貫義城 左贊成令孫后 高宗己丑司憲府監察

    정한진丁漢鎭 : 본관은 의성. 의성군 영손의 후손이며 통정대부 훤의 6대손으로서, 고종 신축년에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義城 義城君令孫后 通政훤六代孫 高宗辛丑 通政

    조현구趙鉉九 : 자는 영안. 본관은 평산. 86세를 누렸다.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永安 平山人 享年八十六 嘉善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

    주호명朱鎬命 : 본관은 신안. 한림 잠의 후손으로서 고종 신묘년에 통정대부 가선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新安人 翰林潛后 高宗辛卯通政 陞嘉善

    贈職

    최경규崔景奎 : 자는 응칠. 호는 지헌. 장경 사전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장릉참봉 가선대부를 지냈다. /字應七 號芝軒 莊景思全后 長陵參奉 陞嘉善

    최유명崔有明 : 본관은 경주. 문정공 승로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감찰을 지냈다. /貫慶州 文貞承老后 監察

    최흥성崔興成 : 본관은 전주.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全州人 贈嘉善大夫戶曺參判

    추용민秋鏞旼 : 본관은 추계. 노당 적의 후손이며 세심당 수경의 10대손으로서 (蔭仕로) 오위장을 지냈다. /貫秋溪 露堂適后 洗心堂水鏡十代孫 五衛將

    하석기河錫基 : 자는 윤오. 본관은 진주. 문효공 연의 후손으로서 동지의금부사의 (壽職이) 내려졌다. /字允五 晉州人 文孝演后 資同知義禁府事

    한덕형韓德亨 : 본관은 청주. 양절 확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헌종 때 가선대부였다. /貫淸州 襄節確后 憲廟朝 資嘉善

    한정유韓挺愈 : 본관은 청주. 호는 자암. 양절 확의 후손으로서 숙종 정사년에 (蔭仕로) 가선대부 동중추부사였다. /貫淸州 號紫菴 襄節確后 肅廟丁巳 嘉善同中樞府事

    한태로韓泰魯 : 본관은 청주. 양절 확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용안과 안협현감을 지냈다. /貫淸州 襄節確后 行龍安安峽縣監

    허강許鋼 : 본관은 하양. 자헌대부 간숙공 주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에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貫河陽 資憲大夫簡肅周后 高宗朝 參奉

    허반許泮 : 호는 반계. 본관은 하양. 간숙공 주의 후손으로서 고종 계묘년에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號盤溪 貫河陽 簡肅周后 高宗癸卯 通政

    허병許棅 : 본관은 하양. 자헌대부 간숙공 주의 후손으로서 고종 을해년에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貫河陽 資憲大夫簡肅周后 高宗乙亥 參奉

    허윤許淪 : 본관은 하양. 간숙공 주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 (蔭仕로) 궁내부주사를 지냈다. /貫河陽 簡肅周后 高廟朝 宮內府主事

    허정許程 : 본관은 하양. 자헌대부 간숙공 주의 후손으로서 고종 을사년에 (蔭仕로) 참봉을 지냈다. /貫河陽 資憲大夫簡肅周后 高宗乙巳 參奉

    허함許涵 : 본관은 하양. 간숙공 주의 후손으로서 고종 때 (蔭仕로) 통훈대부와 사헌부 감찰을 지냈다. /貫河陽 簡肅周后 高廟通訓大夫 司憲府監察

    홍계해洪啓海 : 본관은 남양. 문정공 언박의 9대손이며 진사 습의 손자로서 선조 임오년에 (蔭仕로) 무산부사를 지냈다. /南陽人 文正彦博九代孫 進士隰孫 宣廟壬午 官茂山府使

    홍순준洪淳準 : 자는 성방. 본관은 남양. 이조판서 명순의 후손으로서,(蔭仕로) 정릉참봉을 지냈다. /字成邦 南陽人 吏判命亨后 貞陵參奉

    홍재열洪在烈 : 자는 광숙. 본관은 남양. 좌찬성 명원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가선대부였다. /字光叔 南陽人 左贊成命元后 資嘉善

    홍종환洪鐘煥 : 자는 관도. 본관은 남양. 좌찬성 명윤의 후손으로서, (蔭仕로) 화릉참봉과 중추원의관을 지냈다. /字寬道 南陽人 左贊成命元后 和陵參奉 中樞院議官

    황동규黃東奎 : 호는 우정. 본관은 장수. 동중추 두일의 아들로서 (蔭仕로) 감역이었다가 흡곡현령을 지냈다. /號藕汀 貫長水 同中樞斗一子 監役行습谷縣令

    황두일黃斗一 : 본관은 장수. 호조참의 승언의 아들로서 고종 갑신년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長水 戶參昇彦子 高宗甲申 嘉善同中樞兼五衛將

    황재봉黃再鳳) : 본관은 장수. 방촌 희의 후손으로서 영조 을사년에 통정대부의 (壽職이) 내려졌다. /貫長水 방村喜后 英宗乙巳 通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