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제한姜濟漢 : 본관은 진주. 호는 송재. 통덕랑을 지냈다. 대제학 진중의 후손이며 찰방 문규의 아들이다. 천성이 순효하였으며 부모의 뜻을 거역하지 않았다. 약시중을 들며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여 7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상을 당해 지극히 슬퍼하며 예법에 따랐으며 폭우와 추위에도 매일 성묘했다.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晉州人 通德郞 號松齋 大提學進中后 察訪文奎子 天性純孝 不불親志 侍湯嘗糞裂指命延7日 遭艱哀毁遵禮 雖暴雨祈寒 每日省掃 事載三綱錄

    강태화姜太和 : 자는 찬명. 호는 운계. 본관은 진양. 이조판서 회백의 후손이다. 부모를 섬김에 몸과 마음을 모두 편하게 해드렸다. 집안이 가난하여 나무를 하고 고기를 잡아 맛있는 음식을 올렸다. 부친이 병들자 자기 몸을 대신해달라고 하늘에 기도했으며 3년 여묘를 예법에 따라 했다. 군과 도에서는 천장(薦狀)을 올렸으며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字贊明 號雲溪 晉陽人 吏曺判書淮伯后 事親俱養志體 家貧樵山漁水 以供甘旨 親제祝天願代 三年廬墓一遵古禮 郡道剡薦 事載三綱錄

    강필진姜弼鎭 : 본관은 진주. 공목공 양진당 저의 후손이며 진사 한술의 6세손이다. 모친이 병들어 수년 동안 고생을 하자 자신의 넙적다리살을 떼어 드리니 치료되었다. 돌아갈 지경에 이르러서는 단지하여 먹이니 3일을 연명하였다. 4형제가 한 방에서 살면서도 말이 나지 않으니 세칭 효우라고 하였다. /晉州人 恭穆養眞堂著后 進士翰述六世孫 母영疾 數年辛苦 割股以進 因得快療 竟至殞終 斷指注血 以甦3日 四昆季 同居一室 曾無間言 世稱孝友

    고병주高秉柱 : 본관은 장흥. 장흥군 복림의 후손이며 제하의 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받들었다. 약시중을 들때는 잠시라도 옆에서 떨어지지 않았으며 약을 달여 먼저 맛보았고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않았다.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를 넘어섰다. 일이 강헌록 및 오륜행실록에 실려있다. /貫長興 長興君福林后 濟厦子 誠孝根天 養以志體 其在侍湯 暫不離側 煎藥先嘗 不委傍人及 遭艱哀毁遵禮 事載綱獻錄及 五倫行實錄

    고병하高炳夏 : 본관은 제주. 문충공 경의 후손이며 효자 석추의 증손이다. 어려서부터 고기 한 점 과일 한 개라도 먼저 먹지 않고 부모에게 드렸다. 부친의 병환 3년간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여 2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상을 당해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서니 마을에서 칭탄하였다. /濟州人 文忠慶后 孝子碩秋曾孫 自幼 一연味一個果 不私其口先獻親 當父病三載 嘗糞裂指以甦二日 丁憂哀毁逾制 面里稱歎

    고봉주高奉柱 : 호는 송서. 본관은 장흥 장흥군 복림의 후손이며 자헌 제룡의 아들이다. 가선대부였다. 천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으며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받들었다. 조석으로 자리를 살피고 나가고 들어올 때 반드시 고했으며 부친상과 모친상을 당하매 슬퍼하며 예를 다하였고 늙어서까지 앙모하였다.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號松墅 貫長興 長興君福林后 資憲濟龍子 資嘉善 天性純孝 養志養體 晨昏定省 出入必告及丁外內艱哀毁遵禮 至老猶慕 事載三綱錄

    고석추高碩秋 : 자는 순화. 호는 초은. 본관은 제주. 문충공 경의 후손이며 통정대부 향원의 아들이다. 부모의 뜻에 따라 봉양하며 순종하였다. 부친이 병들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넣어주니 5일을 연명하였다. 상을 당하자 초종지절이 예법을 넘어섰다. 시묘3년을 하고 모친상을 당하여서도 전상과 같이 하였다. 군과 도의 사림들이 천장(薦狀)을 올렸다. /字順和 號樵隱 濟州人 文忠慶后 通政享遠子 養志順命 父病사指 注血延5日 初終之節 返逾禮制 侍墓三年 母喪一如前喪 郡道士林剡薦

    고종현高鍾鉉 : 자는 군집. 본관은 제주. 영해군 두황의 10세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며 부모를 잘 봉양하였다. 부친이 병들어 누웠는데 온갖 의술로도 고치기 어렵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였고, 상을 당해 슬퍼함이 예절을 넘어섰다. 염하고 장사하고 제사지내는 것을 모두 예법을 따랐다. 유림에서 여러번 도와 군에 천장(薦狀)하였다. /字君執 貫濟州 瀛海君斗煌十世孫 天性至孝 善養兩庭 父病沈重 委床難醫 斫指注血及 丁外內艱哀痛逾節 歛殯葬祭 一從禮制 儒林累薦郡道

    고희주高凞柱 : 본관은 장택.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효로써 부모를 섬겼다. 부친이 설사로 음식을 먹지 못하고 오로지 생선을 원하였으나 때는 겨울이라 울면서 냇가로 나아가니 뜻밖에도 잉어를 얻어 올리니 효험을 보았다. 군과 도에서 가상하다는 제사(題辭)를 내렸다. /長澤人 家素貧구 孝事父母 父以泄痢 頓廢食飮 但願生鮮 時維冬月 涕泣出川 偶得一鯉 供之得效 累有郡道 嘉尙之題

    김기두金基斗 : 자는 군칠. 본관은 김해. 탁영 일손의 후손이며 부사 춘경의 10세손이다. 효로써 부모를 섬겼으며 부친상을 당하여 초종부터 담제까지 예법에 따랐다. 여묘 3년 하면서 묘를 쓸고 절을 하였으며 그 뒤 성묘하기를 풍우에도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 면과 리에서 그의 효행을 칭송하였다. /字君七 金海人 濯纓馹孫后 府使春慶十世孫 事親至孝 外艱初終담祭一遵禮制 居廬三年 掃墳省拜 未嘗以風雨一日闕焉 面里稱其孝

    김대경金大經 : 자는 경숙. 호는 규암. 본관은 경주. 계림군 균의 후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서 고을에서 칭탄하였다. 유림에서 여러번 천거하였고 또 장관 및 무성원의 통장이 있으며. 오륜행실중간소의 포장이 있다. /字敬淑 號葵菴 慶州人 鷄林君균后 天性極孝 鄕里稱歎 累薦儒狀 又有長官及武城院通狀 五倫行實重刊所 褒狀

    김명오金鳴五 : 자는 원서. 호는 봉강. 본관은 경주이며 효자 태정의 아들이다. 부친이 병이 위독하여 자라탕을 원하니 울면서 하늘에 기도하고 얼음을 뚫어 자라 두 마리를 잡아 음식을 만들어 드렸다. 이에 빠르게 회복하니 세상에서 이르기를 효자의 집안에서 또 효자가 났다고 하였다. /字元瑞 號鳳岡 慶州人 孝子兌貞子 親病危劇願鱉湯 號泣禱天 鑿氷得二 供進快甦 世稱孝子之門 又出孝子

    김봉배金鳳培 : 본관은 김해. 통사랑 선공감이었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부친이 병이 나자 옷을 벗지 않고 약은 반드시 먼저 맛보았으며 상을 당해 지극히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다. 초하루와 보름에 묘를 살피고 청소하였다. 조정에서 듣고 정려를 내렸다. /金海人 通仕郞繕工監役 天性至孝 親疾衣不解帶 藥必先嘗及其喪哀毁逾制 朔望省掃 聞朝 命旌

    김상린金相麟 : 자는 성삼. 호는 지풍. 본관은 경주. 명암 인경의 후손이다. 성균진사를 지냈다. 문학과 행실이 당세에 이름 높았다. 6년 여묘에 머리카락과 수염이 하얗게 되었다. 정려는 백운면 오정리에 있고, 기로사 정진이 서문을 쓴 유고가 있다. /字聖三 號芝農 慶州人 明菴仁鏡后 成均進士 文學行嗚于當世 六年居廬 鬚담盡白 旌閭在白雲面 五亭里 有文稿蘆沙奇正鎭序文

    김상현金尙鉉 : 본관은 김해. 김녕군 수향의 후손이다. 부친이 병이 들자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엄동에 울면서 얼음을 두드리니 푸른 미나리가 솟아 나왔다. 여묘에서 괴롭게 있으면서 머리를 빗지 않고 버선을 신지 않았다. 정려는 원두미면 반월리의 뒤에 있다. /金海人 金寧君收鄕后 父病嘗糞 時値嚴冬 叩氷號泣 靑芹秀出 廬墓枕苦 不梳不襪 旌閭在元斗尾面半月里后

    김석기金奭基 : 자는 공섭. 본관은 연안. 문정공 자지의 후손이며 호조참의 두민의 손자이고 만필 사성의 아들이다. 부친이 병에 걸려 위독하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수일간 연명하게 하였으며 동생과의 우애가 돈독하였다. 영읍과 예조에서 가상하다는 제사(題辭)가 있었다. 사행(事行)이 삼강록 및 오륜행실도에 실려있고 포장이 있다. /字公攝 延安人 文靖自知后 戶參斗民孫 晩泌思聲子 親제危篤 裂指得數日甦 友弟敦厚 營邑禮曺承題嘉尙 事載三綱錄及 五倫行實錄 有褒狀

    김영순金永淳 : 본관은 광산. 자헌대부 탁현의 아들이다. 그의 나이 10세에 그 부모를 봉양하려고 인근 마을에 머슴살이를 나갔다가 하루 세끼 밥의 반을 남겨 저녁에 부모에게 드리고 새벽이 되어서는 반드시 집으로 들르되 풍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야행에는 도깨비불이 앞을 이끌었다 한다. 부모의 상을 당해서는 한결같이 예절에 따랐다. 유림의 천장(薦狀)이 있다. /貫光山 字憲鐸鉉子 年甫10歲 其養親傭於隣里 日飯3時分 半貯置 夕進親 晨必歸扉 雖風雨靡懈 夜行鬼火前導 丁內外艱 一遵禮制 有儒狀

    김유황金有璜 : 본관은 김해. 효자 응철의 아들이다. 부친의 뒤를 이어 탁월한 효행을 하였다. 부친이 병들어 위독하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이니 3일을 연명했다. 다시 손가락을 자르니 3일을 연명했다. 고을에서 도에 알리니 책상에 천장(薦狀)이 가득 쌓였다.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金海人 孝子應喆子 承襲父 有卓越之行 親제危篤 幾至殞絶 裂指注血以延3日又斷一指以延3日 邑報道薦積案盈箱 事載三綱錄

    김응철金應喆/자는 천보. 본관은 김해. 탁영 일손의 9세손이다. 부친이 병이 들었는데 의원이 자라를 써야 한다하나 추운 겨울이라 냇가에 나가 눈물만 흘리고 있으니 자라 두 마리가 얼음에서 나왔다. 이것을 취하여 삶아드리니 빨리 나았다. 부친이 다시 병이 들어 기러기 고기를 원하자 산곡에 갔는데 쌍기러기가 수풀에 있었다. 이것을 잡아 드렸다. /字天保 金海人 濯纓馹孫九世孫 親제沈痼 醫云用鰲 時乃隆冬 揮淚沼川 二鰲出氷 取以煎進快效 親제復作 惟願鴨肉 往于山谷 雙鴨在林 手鞠供進

    김익동金益東 : 본관은 안동. 문충 선유 향용의 후손이며 참봉 조한의 아들이다. 부모의 몸과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모친이 등에 종기가 났는데, 어느 날 밤 그것을 빨아주다 그 입에 종기가 났으며 자신의 왼쪽 넙적다리살을 떼어 드리니 병이 완전히 낳았다. 사형제가 한 방에서 사는데도 우애가 돈독하니 마을에서 칭송하였고 군과 도에서는 천장(薦狀)을 올렸으며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安東人 文忠仙源尙容后 參奉朝漢子 孝養志體 母背疽日夜연 其瘡口割 其左股付以得전 兄弟四人 友愛尤篤 同居一室 面里稱誦 郡道剡薦 事載三綱錄

    김인상金仁上 : 아비의 병환에 얼음을 깨고 물에 들어 하늘에 빌어 쾌하도록 하였다. /父病沐浴祝天得療

    김재익金在益 : 본관은 낙안. 양혜 윤길의 후손이며 효자 재충의 동생이다. 심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다. 어려서부터 과일을 얻으면 반드시 품에 품고 고기를 보면 반드시 가져왔다. 매사에 반드시 고하고 부모의 뜻을 거역하지 않았으며 덥고 서늘함을 가려 조석으로 자리를 살폈다. 상을 당하여 지극히 슬퍼하며 늙어서까지 오로지 앙모하니 사람들이 칭송하여 그 형에 그 아우라고 하였다. /貫樂安 襄惠贇吉后 孝子在忠弟 心性純孝 自幼得果必懷 遇肉必齎 每事必告 不불親志 冬夏溫청 晨昏定省 丁艱哀毁 至老猶慕 人稱 有是兄有是弟

    김재충金在忠 : 본관은 낙안. 양혜 윤길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부모의 뜻에 순응하였다. 나갈 때는 고하고 들어와서는 문안하며 놀 때는 반드시 장소를 알렸다. 사계절 부족하지 않게 맛있는 음식으로 봉양하였다. 향리에서 훈장을 할 때 거리가 멀었으나 조석으로 반드시 자리를 살폈으며 게으르지 않았다. 누차 천장(薦狀)이 있었다. /貫樂安 襄惠贇吉后 自초齡 承順親志 出告反面 遊必有方 甘旨必供 四時不乏 隣里敎授 距里有間 晨昏必定省 夏扇枕席 不懈其身 累有薦狀

    김정두金禎斗 : 본관은 김해. 절효 극일의 후손이다. 천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으며 효로써 양친을 봉양하였다. 부모의 말에 순응하며 어김이 없었고, 조석으로 자리를 살폈다. 약시중을 들 때는 넘을까 달아질까 정성을 다해 불을 지피며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었다. 상을 당해 지극히 슬퍼하며 예의에 따라 장사지냈다. 면리에서 우러러 천거하였고 군과 도에서 포제를 내렸다. /貫金海 節孝克一后 天性純孝 孝於生養兩親 承順無違 晨昏定省 其在侍湯 不신不翔 焦心灼思 嘗糞驗症 遭艱哀毁遵禮 面里仰薦 郡道有褒題

    김정두金正斗 : 본관은 김해. 탁영 일손의 11세손이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남달리 뛰어났다. 기쁜 마음으로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봉양하였다. 상을 당해 극진하게 예법을 따라 장사지냈으며 그 처 밀양박씨도 시부모를 잘 섬겨 또한 효부라고 칭송받았다. 마을에서 거듭 상을 주었으며 천장(薦狀)도 많이 쌓였다. /金海人 濯纓馹孫十一世孫 自초齡 孝心卓異 下氣怡聲 善養志體 丁憂克遵禮制 其妻密陽朴氏 善事舅姑 亦稱孝婦 面里累有賞饋 又有狀軸

    김정현金貞鉉 : 호는 송정. 본관은 광산. 의정 국광의 후손이며 관찰사 재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햇과일을 보면 반드시 품어오고 고기가 있으면 반드시 부모에게 가져다 바쳤다. 부친의 병을 당해 밤으로 북두칠성에게 기도하며 설산에서 꿩을 잡아오고 빙천에서 미꾸라지를 잡아왔으며 상을 당해 예법에 따르니 고을에서 칭송하며 감탄하였다. 군과 도에서는 천장(薦狀)을 올렸다. /號松亭 光山人 議政國光后 監察在遊子 自幼見新果必懷 遇肉必齎獻于父母 親제夜禱星斗 雪山得雉 氷川得鰍 丁憂遵禮 鄕黨稱歎 郡道剡薦

    김종관金鍾觀 : 본관은 김해. 통훈대부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할아버지가 음죽의 수령일 때 부친이 병이 있어 드디어 죽자 울음을 그치지 않아 실성할 지경이었다. 관을 고향으로 운구하고자 강을 건널 때 풍랑이 크게 일었으나 울면서 하늘에 빌자 바람이 멎고 물결이 잔잔해졌다. 조정에서 듣고 정려를 내렸다. /金海人 通訓大夫司憲府監察 祖宰陰竹時 父有疾 竟至不幸 呼泣不絶 幾至滅性及 返柩渡江風浪大作 號泣祝天 風靜浪息 聞朝命旌

    김종협金鍾恊 : 자는 화윤. 호는 해비. 본관은 연안. 문정 자지의 후손이며 효자 석기의 아들이다. 부친이 병들자 기도하고 약을 지었고 초하루와 보름에는 풍우라도 빠트리지 않고 성묘하였다. 고을에서 도에 거듭 천거되어 장하다는 제사(題辭)가 내려졌다. /字和允 號海泌 延安人 文靖自知后 孝子奭基子 親제禱制 朔望展省 不以風雨闕焉 鄕道剡薦累蒙獎題

    김진의金鎭義 : 본관은 의성. 영의정 거익의 후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며 부모를 잘 봉양했다. 부친의 병이 위급하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였더니 평상시와 같이 회생하였고, 모친에게 종기가 생기자 하늘과 산에 빌어 자신의 몸으로 대신하게 해달라고 하였으며 상을 당하여 지극히 슬퍼하며 3년을 여묘하므로 고을에서 칭송하였다. /貫義城 領相居翼后 天性至孝 善養其親 父病危革 斫指注血 甦得如常 母영疽症 禱天祈山 願以身代 遭艱哀毁三年 鄕里稱頌

    김치희金致禧 : 자는 군향. 호는 덕봉. 본관은 경주. 참판 효남의 후손이다. 부친이 병들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3일 동안 연명하였으며 그 상을 당하여 3년 여묘하였다. 고을과 도에서 거듭 천장(薦狀)을 올려 가상하다는 제사를 받았다. 일이 호남삼강록에 실려있다. /字君鄕 號德峰 慶州人 參判孝男后 親제 裂指救延3日命及 其丁憂 三年居廬 鄕道剡薦 累蒙嘉尙之題 事載湖南三綱錄

    김태정金兌貞 : 자는 신백. 본관은 경주. 수은 충한의 후손이다. 효행이 탁이하여 조석으로 맛있는 음식을 올렸으며 아침 저녁으로 맛있는 음식을 올리고 자리를 살폈다. 가정이 화목하니 고을과 고을인근에서 흠복하였다. /字信伯 慶州人 樹隱沖漢后 孝行卓異 朝夕甘旨 晨昏定省 家庭醇和 鄕隣欽服

    김학배金鶴培 : 자는 경화. 호는 분소. 본관은 김해. 성균진사를 지냈으며 동몽교관에 추증되었고, 조봉대부였다. 타고난 효자로 부모의 뜻에 어긋남이 없었다. 모친이 병이 나자 눈을 무릅쓰고 산에 올라 하늘에 기도하고.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이고 상을 당해 지극히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다. 조정에서 듣고 정려를 내렸다. /字慶和 號芬巢 金海人 成均進士 贈童蒙敎官 朝奉大夫 誠孝根天 養志無違 母病 冒雪祈天 嘗糞裂指及喪哀毁逾制 聞朝命旌

    김현양金顯陽 : 본관은 김해. 효성을 타고났다. 어려서 모친상을 당했는데 곡을 하며 슬퍼하자 조문객들이 감탄하였다. 만년에도 노부의 입에 맞는 음식을 드렸으며 덥고 서늘함을 가려 자리를 살폈고 봉양함에 극진하였다. 인근 마을에서 우러러 칭송하였다. /貫金海 賦性根孝 幼遭母喪 哭泣之哀 吊者感歎 晩老父適口之味 溫凉之節 竭力供盡 隣里欽頌

    김효현金孝顯 : 본관은 김해. 증직 이조판서 윤직의 후손이다. 효성이 지극하였고 지극한 예로써 부모를 섬겼다. 부모의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고 늙어서까지 앙모하였다. 고을에서 감탄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貫金海 贈吏判胤直后 誠孝根天 事親盡禮及 丁外內艱 哀毁逾節 至老猶慕 鄕里莫不感歎

    김흥조金興祚 : 본관은 김해. 어려서 풍증이 있어 반신불수가 되고. 집안이 심히 가난하였으나 지극한 효로써 부모를 섬겼다. 가난한 것을 항상 걱정하여 마을 앞에서 슬피울다가 병을 주었는데 그 병에서 좁쌀이 계속 나오는지라 변변치 않은 음식이나마 봉양할 수 있게 되었다. 모친상을 당하여 여묘하매 게을리 하지 않았다. 고을에서 칭탄하였다. /金海人 早有風症 半身不仁 家甚貧窶 事親至孝 常患無資 哀號閭里 以得甁罌之粟繼其 菽水之供 母喪居廬 不惰其身 鄕里稱歎

    김희두金凞斗 : 자는 사익. 본관은 김해. 문민공 일손의 후손이다. 효성이 특히 두드러졌다. 부친상을 당하여 슬퍼하며 지극한 예를 다하였고 여묘 3년을 하였다. 인근 마을에서 칭송하였으며 사림에서 천장(薦狀)을 올렸다. /字士益 金海人 文愍馹孫后 誠孝尤篤 父喪哀毁盡禮 廬墓三年 隣里稱歎 士林薦狀

    남궁무幼學南宮茂 : 임진왜란 90세된 아버지를 끌어않고 한칼에 같이 죽으니 이일을 듣고 정려를 내렸다. /壬辰之亂 父年九十抱父而坐同死一刃 事聞旌閭

    남익교南益敎 : 본관은 의령. 부원군의 후손이며 절충장군 윤복의 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였다. 부친이 병에 들어 달을 넘겼는데 백약이 무효했다. 꿩탕을 먹고싶다하여 앞산에 가서 크게 울었는데 꿩이 스스로 부엌으로 들어왔다. 부친이 운명하려하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3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군과 도에서 거듭 가상하다고 제사(題辭)하였다. /宜寧人 府院君后 折衝將軍 允福子 孝心純至 父病跨朔 百藥無效 惟願雉湯 號泣前山 雉自入廚 其殞終 裂指注血命延3日 郡道累有嘉尙之題

    남정훈南廷薰 : 자는 여랑. 본관은 의령. 충장 이흥의 후손이며 감찰사 하원의 아들이다. 부친이 병들자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였다. 단을 쌓고 정성으로 기도하며 절구질하고 그물질하여 음식으로 봉양하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천장(薦狀)이 축을 이루었으며 장례원에서 제사(題辭)하기를 이런 효자는 고인에게서도 견줄 사람이 드물다고 하였다. /字汝良 貫宜寧 忠壯以興后 監察夏元子 父病嘗糞裂指 築壇誠禱 杵米網魚 不懈供旨 俱在狀軸 掌禮院題 有似 此之孝求 古人而亦罕주

    박기래朴琪來 : 본관은 밀양. 낙촌 충원의 후손이다. 효성이 지극하였다. 부친이 병들자 의원이 사슴피가 좋다고 하였으나 구하기가 어려웠다. 향을 사르고 하늘에 기도하자 넝쿨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는 사슴 한 마리가 있어 이것을 드리고 효험을 보았다. 상을 당하게 됨에 단지하여 피를 넣어주고 3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향리에서 여러번 천장(薦狀)을 올렸다. /密陽人 駱村忠元后 誠孝根天 親嬰貞疾 醫云 鹿血最好 難以求得 焚香祝天 有一鹿 爲葛유所障 以供得效 丁憂斷指注血以延3日 鄕里累有薦報

    박로희朴魯喜 : 본관은 밀양. 두정 충원의 후손이며 효자 기래의 아들이다. 모친이 병들자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흑질백장이 가장 영험하다고 하였다. 울면서 눈속을 헤메니 홀연 뱀 한 마리가 있었다. 이것을 달여드리니 효험이 있었다. 운명하려함에 단지하여 피를 넣어드리니 3일을 연명하였다. 후에 계모를 섬기는 것이 생모를 모시는 것과 같았다. 군과 도에서는 천장(薦狀)을 올렸다. /密陽人 糾正忠元后 孝子琪來子 母病 或云 黑質白章 最靈 雪天號泣 忽有一蛇當前 煎進得效及 其殞絶斷指注血 回甦3日 後事繼母 一如生母 郡道剡薦

    박리풍朴履豊 : 호는 반곡. 본관은 밀양이며 증직 감찰 충정공 심문의 후손이다. 부친이 병이 나 물고기를 원하매 얼음에서 고기를 낚았으며 그 상을 당해 슬퍼하며 극진한 예를 다하였니 기일에는 꿩이 부엌으로 들어왔다. 아들 상휴에게 교관이 증직되었다. 부친상에 3년을 여묘하였다. 정려는 반송리에 있다. /密陽人 號盤谷 贈監察忠貞審問后 父疾思鮮 釣氷得魚及其遭艱 哀毁盡禮 忌日有雉入廚 子尙休 贈敎官 親喪廬墓三年 旌在盤松里

    박복천朴福千 : 본관은 밀양. 형제가 천성이 순후하였다. 부모를 섬김이 지극하여 부친의 병환에 손가락을 베어 피를 입에 넣어드려 5일간을 더 회생하게 하였고, 모친이 물고기와 꿩이 먹고 싶다 하자 냇가에 가서 슬피 우니 물고기가 얼음 위로 튀어나왔고 골짜기에 가서 축원을 드리니 꿩이 스스로 앞에 떨어졌다한다. 상을 당함에 슬퍼함이 예법에 지극하였다. 영읍에서 여러번 가상하다고 제사(題辭)를 내렸다. /密陽人 兄弟天性純厚 事親至孝 父病 斫指注血 回甦5日 母願魚雉 號泣于川 魚躍出氷 祝願于谷 雉自墜前 丁憂哀毁盡禮 累有營邑 嘉尙之題

    박성손朴聖遜/ : 본관은 밀성. 밀산군 밀양의 후손이며 추국관 수현의 손자이다. 부모를 지극한 효로 섬겨 옆에서 떠나지 않고 모셨으며 상을 당해 시묘를 하니 범이 앞에서 지키고 개가 뒤따르니 원근에서 흠모하며 우러러보았다. 교관에 추증되었으며 정조 경자년에 정려를 내렸다.貫密城 密山君密陽后 推鞠官秀賢孫 事親至孝 侍側不離 丁艱侍墓 虎護前犬隨後 遠近慕仰 贈敎官 正廟庚子蒙旌

    박성진朴聖眞 : 어미의 병에 단지하여 소생시켰다. /母病斷指 因以得甦

    박성흠朴性欽 : 본관은 밀성. 두정 현의 후손이다. 부친이 병이 나자 신인이 가르침을 주어 눈덮힌 바위에서 홍사 두 마리를 얻었다. 이로 인해 회생하였으나 마침내 운명하려하자 단지를 하였다. 모친이 병이 나자 스님이 범의 쓸개가 좋다고 하여 운장산에 가서 범을 때려잡아 쓸개를 얻어 낫게 하였다. 꿩과 사슴이 스스로 찾아오니 음식을 해서 드리고 운명하려함에 다시 넙적다리살을 떼어내 드리니 세상에서 이르기를 하늘이 낸 효자라고 하였다. /密城人 糾正鉉后 父病 神人有指 祝雪巖 得二紅蛇 回甦及 終斷指 母病 僧言虎膽 往雲長山 虎鬪一斃 得膽而甦 雉鹿自來 供膳及 屬纊再割股 世稱天孝

    박수인朴守仁 : 본관은 밀성. 밀산군 밀양의 후손이며 추국관 수현의 후손이다. 효성이 지극하였고 부모를 극진한 예로써 섬겼다. 조석으로 자리를 살피며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받들었다.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절을 넘어섰고 3년 시묘 동안 맹호가 옆에서 지켰다. 군과 도에 유생들의 천장(薦狀)이 한두번으로 그치지 않았다. /貫密城 密山君密陽后 推鞠官秀賢后 誠孝根天 事親盡禮 晨昏定省 養以志色 丁艱哀毁逾節 三載侍墓 猛虎守側 郡道儒狀 一再

    박연흥朴淵興 : 자는 치화. 본관은 밀양. 두정의 후손이며 동중추 정호의 아들이다. 성정이 순수하며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산에 기도하고 하늘에 빌었으며 옷을 벗지 않고 의약으로 봉양했다. 상을 당하여 여묘하매 예법에 따랐다. 고을에 천장(薦狀)이 많았다. /字致化 密陽人 糾正后 同中樞正鎬子 性純志孝 父嘗영疾 祈山祝天 不解衣帶 以奉醫藥 丁憂居廬 一遵禮制 鄕里多有薦狀

    박영수朴永秀 : 효자 성흠의 아들이다. 천성이 순하고 도타웠다. 가업을 잇자 기쁜 마음으로 아침 저녁 자리를 살피며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봉양함에 그 정성스러움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었고 그 부친의 장삿날에 범 두 마리가 호위하였고 모친 장삿날에는 쌍학이 따라 곡을 하자 세상에서 이르기를 효부(孝父)가 효자를 낳았다고 하였다. 군과 도의 유림들이 천장(薦狀)을 올리니 포제하였다. /孝子性欽子 天性純篤 承襲家庭 怡愉定省 善養志體 靡所不逮及其父葬之日 兩虎護隨 母喪之日 二鶴助哭 世稱孝父生孝子 郡道儒狀 供得褒題

    박행검朴行儉 : 본관은 반남. 임회당 희권의 후손이다. 부친이 병들어 백약이 무효하나 물고기와 나물을 원하매 단을 설치하고 정성껏 기도하니 얼음 위로 고기가 뛰어오르고 눈속에서 나물이 뽑혀져 나왔다. 상을 당하여 여묘함에 3년을 하루같이 하였다. 유생들의 천장(薦狀)과 군과 도의 포제가 쌓였다. /貫潘南 臨淮堂希權后 父病百藥無效 願食魚菜 設壇誠禱 魚躍氷上 菜抽雪中 丁艱居廬三霜如一日 儒狀及 郡道褒題成軸

    박홍양朴洪陽 : 자는 원춘. 본관은 반남. 치천 소의 후손이다. 천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으며 정성으로 부모를 섬겼다. 집안이 가난하여 부모가 병들어 10년에 이르매 사냥하고 고기를 잡아 항상 어육을 드시게 했다.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고 조석으로 성묘하며 풍우에도 그치지 않았다. 향리에서 칭송하였다. /字元春 貫潘南 治川紹后 天性純孝 事親以誠 家素貧乏 親病十載 獵山漁水 恒供魚肉 丁艱哀毁逾制 晨夕省境 雖風雨不廢 鄕里稱頌

    배윤석裵胤錫 : 호는 송산. 본관은 성주. 가선대부 달홍의 아들이다. 감찰을 지냈다. 그 모친이 병들어 꿩을 먹고싶다고 하자 꿩이 뜰로 날아들어 잡아서 드렸다. 그 병이 위독하자 하늘에 기도하여 자신이 대신하게 해달라고 빌었으며 넙적다리살을 떼면서도 기뻐하였고 이로 인해 회생하게 되었다. 고을이 감탄하였으며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렸다. /號松山 貫星州 嘉善達弘子 官監察 其母영疾 願食生雉 雉飛入庭 捉以供進及其危重 禱天願代 割股和藥 因以得甦 鄕里感歎 事載三綱錄

    배일성裵日成 : 본관은 성산. 자는 운보. 가선대부였다. 성품이 온화하고 효행과 우애가 돈독함이 어려서부터 늙어서까지 변하지 않았다. 인근 마을에서 그 탁이한 행동을 칭송하였다. 이 일이 군의 유생들이 올린 천장(薦狀)에 실려있다. /貫星山 字雲甫 嘉善 天性溫和 孝友尤篤 自幼至老 終始不渝 隣里稱歎 其卓異之行 事載郡儒狀

    백낙구白樂九 : 자는 경칠. 호는 월파당. 본관은 수원. 휴암 인걸의 후손이며 효자 치수의 아들이다. 편모를 효성스럽게 봉양하였다. 모친이 병들어 위중하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넣어주니 회생하여 몇 달을 살았다. 다시 병이 나자 재차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7일을 연명하게 했다. 상을 당하여 예법에 따라 장사지냈다.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字敬七 號月波堂 水原人 休菴仁傑后 孝子致洙子 孝養偏母 母病沈重 斫指注血 回甦數月 厥疾復作 再裂其指以延7日 丁憂葬祭遵禮 事載三綱錄

    백남표白南杓 : 자는 운재. 호는 청란. 휴암 인걸의 후손이며 효자 낙원의 아들이다.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섬겼다. 부친이 병들자 약시중을 들었으며 얼음 속에서 고기를 잡고 눈 속에서 미나리를 캐왔다. 지극한 정성으로 구하여 모셨으며 상을 당하자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다. 여묘 3년을 하였고 군의 유생들이 올린 천장(薦狀)이 매우 많이 쌓여 가상하다는 제사(題辭)가 있었다. /字雲哉 號靑蘭 休菴仁傑后 孝子樂元子 事親至孝 親제侍湯 氷魚雪芹 탄誠求供 丁憂哀毁逾禮 居廬三年 列郡儒狀 積軸多有 嘉尙之題

    백락원白樂元 : 자는 경원. 호는 만회. 본관은 수원. 문경 휴암 인걸의 후손이며 효자 치수의 아들이다. 효로써 봉양하고 아비를 의지하였다. 부친이 병들어 나물을 원하자 눈밭에서 그 싹을 캐왔으며 또 생선을 원하자 빙천에서 잉어를 잡아왔으며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다. 이 일이 오륜록에 실려있다. /字敬元 號晩晦 水原人 文敬休菴仁傑后 孝子致洙子 孝養호恃 父病惟願芹菜 雪圃茁莖又願生鮮 빙천躍鯉及喪哀毁踰制 事載五倫錄

    백무학鄕吏白武鶴 : 그 아비에 악질이 있자 손가락을 끊어 병구완을 해 낫게 하였다. 조정에서는 이 일을 알고 향리의 직을 면케 하였다. /其父有惡疾斷指以進病愈 啓達受免鄕帖

    백치수白致洙 : 자는 치홍. 호는 은헌. 본관은 수원. 문경 휴암 인걸의 후손이다. 나무하고 고기를 잡아 맛있는 음식으로 부모를 봉양하였다. 모친이 고질에 걸려 죽을 지경이 되니 넙적다리 살을 떼어 구워드리니 쾌차하였다. 이듬해에도 묵은 병이 재발하니 또 넙적다리살을 떼어 회복하게 하였다. 이 일이 오륜행실록에 실려있다. /字致弘 號隱軒 水原人 文敬休菴仁傑后 樵山漁水 以供甘旨 母구沈痼 幾至殞絶 割股炙進 快得完甦 翌年 宿수復肆又割股復常 事載五倫行實錄

    서항徐沆 : 자는 경양. 호는 성와. 절효 릉의 후손이다. 부친이 고기에 체해 병이나 끝내 소생하지 못하자 여묘 3년을 하였다. 모친상에도 마찬가지였다. 그 처 오씨는 시어미가 병들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회생하게 하였으며 시아비가 겨울에 비둘기를 원하매 울며 기도하자 비둘기가 부엌으로 들어왔다. 영읍에 천장(薦狀)이 많았다. /字景洋 號誠窩 節孝稜后 父患肉滯 終身不食狗羹 廬墓三年 母喪亦然 其妻吳氏 姑病裂指 回甦 舅願鳩冬 號泣祝天 有鳩入廚 有營邑剡薦

    성낙교成樂敎 : 호는 두암. 본관은 창령. 일직장 응문의 9대손 만원의 아들이다. 양친에게 효도하였고 뜻을 받들었으며 거스리지 않았다. 모친이 병들어 드러누웠는데 소의 간이 먹고 싶다고 하였다. 창졸간이라 구하기가 어렵자 농사짓는 소를 잡아 드렸더니 마침내 큰 효험이 있었다. 상을 당하매 예법에 좇아 장사지냈으며 산을 구해 몸소 관을 지고 가니, 지사(풍수)는 그 수고를 하지 않았다. /號斗菴 貫昌寧逸直長應文九代孫 萬源子 孝於兩庭 養志無違 母病沈重 願食牛肝 卒難求得 命포農牛 終見大效 丁憂遵禮 求山躬負 地師不勞其苦

    성석태成錫泰 : 호는 묵재. 본관은 창령. 문경공 독곡 석린의 12대손이며 통덕랑 창하의 아들이다. 부모를 지극한 효로써 섬겼으며 상을 당하매 조석으로 묘를 살피며 절하고 꿇어앉아 머무르니 무릎자국과 손자국이 아직도 남아있다. 고종 병술년에 감찰에 추증되고 정려가 내려졌으며 연재 송병선이 기록한 글이 있다. /貫昌寧 號黙齋 文景獨谷石璘十二代孫 通德郞昌夏子 事親至孝及喪朝夕省墓 拜궤之處 膝痕手跡尙存 高宗丙戍 贈監察 蒙旌 有淵齋宋秉璿 記文

    성필원成弼遠 : 호는 경부. 본관은 창령. 효자 증직 감찰 석태의 아들이다. 부친이 병들자 약시중을 정성으로 들고 하늘에 기도하였다. 상을 당해 여묘 3년 동안 기르던 개가 매양 따라다녔는데, 비로 냇물이 불면 옷을 물어 얕은 곳으로 이끌었고, 눈이 내리면 앞에서 대나무를 물고 이끌었는데 천둥이 울면 묘를 끌어 안고 울었다. 고종 병술년에 교관에 추증되었다. /貫昌寧 號耕夫 孝子贈監察錫泰子 親病侍湯 克誠祝天 丁憂 廬墓三年 家犬每隨 雨漲牽衣從淺 雪積先踏導竹 雷霆抱墓號泣 高宗丙戍 贈敎官

    손동현孫東賢 : 자는 사흥. 본관은 밀양. 밀성군 윤의 후손이다. 지극한 효로써 부모를 섬겼다. 갑자기 부친상을 당하매 염하고 장사하고 제사지내는 것에 예법에 벗어남이 없었다. 묘소를 매일 둘러보고 청소하니 맹호가 앞을 이끌었다. 그 모친이 병이 나자 신인이 가르쳐주어 산삼을 얻어 바치니 바로 효험이 있었다. 고종 갑신년에 감찰에 추증되었으며 정려가 내려졌다. /字士興 貫密陽 密城君贇后 事親至孝 奄遭外艱 殮殯葬祭無不中禮 每日省掃 猛虎導前 其母病 神人指得山參 獻輒有效 高宗甲申 贈監察 命旌閭

    손영식孫泳植 : 호는 운초. 본관은 밀양. 부제학 비장의 후손이며 정황의 아들이다.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변변치 않은 음식이나마 정성껏 올리고 뜻을 받듬이 옛사람들에게 부끄러울 것이 없었다.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서 향린에서 칭송하였다. 이 일이 오륜행실록에 실려있다. /號雲樵 密陽人 副提學比長后 正璜子 誠孝根天 菽水之供 養志之節 無愧於古人及 丁憂哀毁逾制 鄕隣稱歎 事載五倫行實錄

    손우식孫祐植 : 본관은 밀양. 통사랑을 지냈다. 밀양군 빈지의 후손이며 오위장 경석의 아들이다. 부친이 병들자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하늘에 기도했으며 얼음을 깨고 미꾸라지를 잡고 눈을 뚫어 쑥을 구했다. 상을 당해 예법에 따라 장사지냈으며 조석으로 시묘하였다. 기일을 당해서는 정성으로 정결히 하였으니 인근 마을에서 칭송하였고 군에 천장(薦狀)이 많았다. /密陽人 通仕郞 密陽君斌之后 五衛將敬奭子 親疾嘗糞 祝天 鑿氷得鰍 穿雪求艾 遭艱喪葬以制 朝夕侍墓 當於忌日 致誠精潔 隣里稱頌 多有郡狀

    손유항孫유恒 : 본관은 밀양.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잘 섬겼으며 맛있는 음식을 드리고 잠자리를 살피는 일에 잠시도 게으르지 않았다. 부친이 병들어 위급하자 정성을 다해 약시중을 들었다. 상을 당해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서 실성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고을과 도에 거듭 천장(薦狀)이 있어 가상하다고 제사(題辭)하였다. /密陽人 家素貧寒 誠孝根天 善事父母 甘旨之供 定省之節 靡時暫懈 親제危重 侍湯탄誠 居憂哀毁逾制 幾至滅性 鄕道累有 嘉尙之題

    송두호宋斗浩 : 자는 필지. 본관은 광산. 부원군 정민 현수의 후손이며 호군 응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돈독하여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봉양하였다. 부모가 돌아가려 하자 넙적다리살을 떼고 피를 먹이니 삼일을 연명하였다.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고 종신토록 성묘하였다. 마을에서 상을 주었고 유림들의 천장(薦狀)이 있다. /字弼志 광山人 府院君貞愍玹壽后 護軍應喆子 自幼篤孝 善養志體及其隕終割股注血得甦三日 丁艱哀毁逾制 終身省掃 鄕里有賞 儒林薦狀

    송성렴宋性濂 : 자는 낙원. 호는 송재. 동몽교관을 지냈다. 본관은 연안으로써 사성 첨언의 후손이며 석관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효를 행함에 열심이었고 자리를 살피고 맛있는 음식으로 섬기는 데 지극하였다. 부친이 병이 나자 하늘에 기도하고 변을 맛보아 병증을 알아내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이고 여묘 3년에 웃어 본 적이 없었다. 정려를 내리고 복호를 명하였다. /字洛源 號松齋 官童蒙敎官 延安人 司成尖彦后 錫寬子 自幼潛心孝經 定省甘旨靡不用極 親病祈天 嘗糞割指注血 廬墓三年 未嘗見齒 命旌復戶

    송진표宋鎭杓 : 자는 영집. 호는 송재. 수직으로 통정대부가 내려졌다. 본관은 여산이며 장릉절신 둔학 경원의 후손이며 효자 가선대부 계옥의 아들이다. 부모를 지극 정성으로 섬겼으며 몸과 마음을 극진히 봉양하였다. 맛있는 음식으로 섬기고 자리를 살폈으며 예법을 다하였다. /字永集 號松齋 礪山人 壽職通政嘉善 莊稜節臣遯壑慶元后 孝子嘉善啓玉子 事親盡誠 克養志體 甘旨定省 一導禮制

    송헌명宋憲明 : 자는 경학. 본관은 은진. 장사랑 백수의 후손이다.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섬겼다. 모친상을 당하여 예법에 맞게 장사지내었고 부친이 병들어 물고기를 먹고싶다고 하자 누차 얼음을 두드려 고기를 잡았다. 고을에서 거듭 천장(薦狀)하였다. /字敬學 貫恩津 將仕郞栢壽后 事親至孝 母喪克從禮制 父病 願食川魚 屢次叩氷得魚 鄕里累薦

    신만휴申萬休 : 본관은 고령. 보한재 문충 숙주의 후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며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받들었다. 그 모친이 병들어 여러 해의 치료가 무효하였다. 단을 쌓고 정성으로 기원하며 자신의 몸으로 대신하기를 빌고 손가락을 물어뜯어 피를 먹이니 위급한 지경을 벗어났다. 면에서 누차 상을 주었다. /貫高靈 保閒齋文忠叔舟后 天性至孝 兼養志體 其母一病 累年刀圭無效 築壇誠祝 願以身代 齧指注血 回延危命 累有面賞

    신병관愼炳觀 : 자는 성진. 호는 묵재. 본관은 거창. 노은 치복의 아들이다. 돈독한 효행을 이어와 모친이 병들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회생하게 하였고, 부친이 병들자 변을 맛보고 증험하였다. 상을 당하자 3년 동안 여묘하며 씻거나 빗질하지 않았으며 옷을 갈아입지도 않았다. 늦게 학문에 뜻을 두어 안분하니 사림에서 거듭 천장(薦狀)을 올렸다.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字聖長 號黙齋 居昌人 蘆隱致馥子 篤孝承襲 母病裂指回甦父病嘗奮驗祟 丁憂三年居廬 不梳洗不易服 晩而志學安分 士林累薦 事載三綱錄

    신의련愼義連 : 자는 의숙. 호는 의계. 본관은 거창.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임진왜란 때 항상 병든 부친을 모셨다. 왜병이 몰려와 (병든 부친에게)해를 입히고자 하니 공은 자기 몸으로 가리고 울며 간절하게 빌어 왜병도 그 효성을 알아보았다. 이름을 써서 불에 던졌으나 불이 붙지 않자 적장도 감복하였다. 조정에서 듣고 정려를 내리고 수의부위에 봉했다. /字宜叔 號美溪 居昌人 天性至孝 壬辰亂 常侍病親 賊兵猝犯欲害 公以身翼蔽 悌泣懇乞賊知其孝 書姓名投火不焚 賊相驚服 聞朝命旌 資修義副尉

    신의련愼義連 : 천성이 순효하였다. 임진왜란때 적들이 칼로 그 아비를 베려하자 아비를 감싸고 우는지라 적들도 감동하여 놓아주어 천수를 누리게 하였다. 정려와 효자문이 세워졌다. /天性純孝 壬辰之亂 賊欲刃其父 翼蔽而泣 賊感而釋之而天年終 旌表門閭

    신진수申進秀 : 자는 맹원. 본관은 평산. 장절 숭겸의 후손이다. 모친이 병들매 명산대천에 쾌유를 기도하고 손가락을 갈라 입에 넣어주니 소생하여 3일을 더 살았다. 그 부친이 병이 위독함에 얼음을 깨고 미나리를 구하고 눈을 쓸어 새순을 구하여 드렸다. 살림이 넉넉지 못하면서도 흉년에 친족을 도와주니 고을에서 존경하고 감탄하였다. 영읍에서 여러번 제교하였다. /字孟元 平山人 莊節崇謙后 母病祈山禱水 裂指注口 以甦3日 其父病重 斧氷得芹 掃雪取筍 以遂所겸歲救族 鄕里欽歎 累有營邑題敎

    신치복愼致馥 : 자는 덕겸. 호는 노은. 본관은 거창이며 효자 의련의 7세손이다.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겼고 친상을 당하자 기절하였으나 그 모친이 부탁하여 말하기를, ‘만약 그러다가 네가 상하면 나는 장차 누구를 의지하겠느냐?’하니 다시는 슬픈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모친상을 당하여 슬퍼하기를 전과 같이 했다. 도와 군에 거듭 천장(薦狀)이 올랐으며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字德兼 號蘆隱 居昌人 孝子義連七世孫 自幼事親至孝 遭憂부地氣絶 其母囑之曰 汝若傷生 母將依誰 復不見慽容 內艱哀毁如前 道郡累薦 載三綱錄

    신태근申泰根 : 본관은 평산. 제정 효창의 후손이다. 갑오년 동학의 소요에 조정의 군사가 남정하매 그 아비가 의분으로 맞이하려 하였으나 뜻밖에 흉적의 무리에 붙잡혀 묶인채 구타당하고 장차 목을 베이려함에 뛰어들어 무죄를 읍소하고 자신의 몸으로 대신하기를 청하니 그들도 효심에 감동하여 아비를 풀어주었다. 도와 군에 유림들의 천장(薦狀)이 쌓였다. /平山人 齊靖孝昌后 甲午東擾 王師南征 其父奮義出迎 不意凶徒結縛毆打砲丸 將至冒刃 突入泣訴無罪 願以身代 彼感其誠 卽爲解縛 道郡儒狀積軸

    안계근安桂根 : 본관은 죽산. 문성유의 후손이다. 효로써 누차 도에 천장(薦狀)되었다. /貫竹山 文成裕后 以孝 累有道薦

    안사제安思悌 : 본관은 죽산. 문성 유의 후손으로 통정대부 치수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섬겼다. 조석으로 자리를 살피는 것에 잠시라도 게으리지 않았으며 안팎의 일을 몸소 하고 반드시 부모의 말을 따랐으며 그 뜻에 순응하였다. 몸과 마음을 모두 효성으로써 봉양하니 누차 유생들이 천거하여 순조 신미년에 통정대부에 추증되었다. /貫竹山 文成裕后 通政致壽子 월自초齡 事親至孝 晨省昏定 心不暫弛 內務外事躬 必親執有 命必順志 體俱養以孝 累有儒狀 純廟辛巳 贈通政

    안영효安永孝 : 본관은 죽산. 효자 진현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며 정성스러웠고 또 절도가 있었다. 부친의 가르침을 이어 효로써 일생을 다하였다. 매사에 반드시 고하고 한번도 멋대로 행동하지 않았다.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받들었으며 혹시라도 잠시 해이하지 않았다. 상을 당하여 죽을 먹고 상복을 벗지 않았으니 사람들이 칭송하기를 그 아비에 그 아들이라고 하였다. /貫竹山 孝子鎭賢子 幼有根天之誠又切 承父之訓 以孝爲一身大事 每事必告 無一自擅 養以志體 無或暫弛 丁憂歠粥行素 人稱有是子焉

    안진현安鎭賢 : 본관은 죽산. 문성 유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스러이 부모를 봉양하였다. 집안의 모든 일을 몸소 행하되 반드시 부모의 말에 따랐으며, 사시에 맛있는 음식으로 봉양하여 궁핍하지 않게 하였다. 부모의 몸과 마음을 잘 받들었으며 조석으로 자리를 살피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부친이 병들자 넙적다리살을 떼어 공양하였고 모친이 병들자 손가락을 잘라 구환하여. 고을에서 감탄하였으며 군과 도에 천장(薦狀)이 있었다. /貫竹山 文成裕后 월自초齡孝養爲心 家內凡事 躬必親執 四時甘旨 連進不乏 志體之養 昕夕靡懈 父病割股 母病裂指 鄕里感歎 有郡道薦

    안치함安致瑊 : 본관은 죽산. 문성공 유의 후손이며 죽성군 문혜 원형의 13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조석으로 자리를 살피며 공양함이 예법에 맞지 않음이 없어 고을에서 우러러보았으며 군과 도에 천장(薦狀)이 거듭 올랐다. 삼강록에 실려있다. /貫竹山 文成公裕后 竹城君文惠元衡十三代孫 自幼至孝 晨昏定省 朝夕供饋 無非適禮 鄕黨欽嗟 累有郡道狀 載三綱錄

    안행선安行善 : 본관은 죽산. 문성 유의 후손이다. 성품이 순수하고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조석으로 자리를 살피며 맛있는 음식으로 공양함에 지극하지 않음이 없었다. 전, 후상을 당하매 죽을 먹고 상복을 벗지 않았으며 염하고 장사지내고 제사지내는 것을 모두 예법에 따랐다. 사람들이 그 효행을 칭송하였고 고을의 모범이었다. /貫竹山 文成裕后 性本純孝 根天實地 晨昏定省 甘旨供饋 無一不至及 丁前後艱철粥行素 歛殯葬祭一遵古制 人稱其孝 模於鄕里焉

    양길순梁吉淳 : 호는 신재. 본관은 남원. 참판 치현의 아들이다. 감찰을 지냈다. 천성이 지극히 순수하고 효로써 부모를 봉양하였으며 그 뜻을 거역하지 않았다. 부친이 병들자 산에 기도하여 산삼을 얻었으며 얼음을 깨고 농어를 잡아 정성스러이 올리니 이내 하늘이 감응하였다. 상을 당하여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서니 고을에서 감동하여 칭송하였다. /號愼齋 貫南原 參判致鉉子 官監察 天性純至 孝養無違 具父病重 祈山得蔘 剖氷得노 誠心所格 乃復天和 遭艱哀毁逾節 鄕里感稱

    양상식梁相式 : 자는 경률. 문양 눌재 성지의 후손이며 효자 원하의 6세손이고 종윤의 현손이다. 집안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천성이 순하고 효성스러웠다. 모친이 병에 걸려 가래가 심한데 백방으로 힘써도 고치기 어려웠는데 넙적다리살을 떼어 국을 끓여드리니 완전히 낫게 되었다. 상을 당하자 너무 슬퍼하다가 수척하게 되었다. 마을에서 상을 주었고 군에서 제사(題辭)하였다. /字敬律 文襄訥齋誠之后 孝子源河六世孫 鍾潤玄孫 世襲家行 天性純孝 母영痰수 百方難醫 割股和羹 以得蘇完 丁憂哀毁瘠立 面里有賞 郡府有題

    양원하梁源河 : 본관은 남원. 문양 눌재 성지의 후손이다. 천성이 순수하고 효성스러웠다. 부모를 지성으로 섬겼으며 모친이 병들자 손가락을 베었고, 부친의 병에는 넓적다리를 베어먹여 7일간 연명하게 하였다. 상을 당해 여묘 6년 동안 까치가 처마에 둥지를 틀고 범이 곁에서 보호하였으니 어찌 하늘이 감동한 일이라 하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세세로 효자집안이라고 칭송하였다. /南原人 文襄訥齋誠之后 天性純孝 事親至誠 母病斫指 父病규股回甦七日 丁憂廬墓六年 鵲巢於첨 虎護於傍 豈非天感 人稱世世孝家

    양원하梁源河 : 자는 군약. 호는 운재. 본관은 남원. 대제학 눌재의 10세손이다. 부모가 병이 들자 단지하여 피를 넣어주어 3일간 연명케 했다. 상을 당해 6년을 시묘살이 하니 호랑이가 뜰에 들어와 지키고 까치가 처마에 둥지를 틀었다는 것을 조정에서 듣고 정려를 내렸다. 정려는 진안면 원은천리 마을 앞에 있다. /字君若 號雲齋 南原人 大提學訥齋十世孫 親病斷指注血 以延三日 丁憂六年居廬 虎衛於庭 鵲巢於簷 聞朝命旌閭 在鎭安面元隱川里村前

    양응춘梁應春 : 자는 화숙이고 호는 성암이며 본관은 남원이며 문양공 성지의 6대손이다. 천성이 순후하며 효로써 양친을 섬겼고 명을 따랐으며 뜻을 거스르지 않았다. 부친이 병에 걸리자 얼음에서 잉어를 얻어왔다. 늘 속을 편하게 해드리고 병이나면 백리의 의원을 모셔와 진찰토록 하였다. 고을에서 모두 그 효행을 칭찬하였다. /字和叔 號省菴 南原人 文襄誠之六代孫 天性純厚 孝事兩親 惟從是命 不불乎志 父영疾氷川得鯉 常以助胃 百里邀醫 每以診症 鄕里咸稱其孝

    양재홍梁在泓 : 본관은 남원. 용성군 주운의 후손이다. 효행으로써 고종 갑신년에 정려가 내려졌다. 사헌부감찰에 추증되었다. /貫南原 龍城君朱雲后 以孝行高宗甲申蒙旌 贈司憲府監察

    양정영梁廷永 : 자는 상빈. 호는 수포. 본관은 제주. 중추원의관 학포 팽손의 후손이다. 겨울에 부친이 산 물고기를 원하여 백리를 가서 어물전에서 구하였지만 얻지 못하여 냇가에서 울고 있는데 큰고기 두 마리가 뛰어올랐다. 이것을 취하여 드리니 세인들이 왕실에 상서로운 일이라 하였다. 군에 천장(薦狀)이 있다. /字相彬 號遂圃 濟州人 中樞院議官 學圃彭孫后 時惟窮冬 親願生魚 往于百里魚帳 求之不得 號泣浦川 首魚二尾躍出 取而供之 世比王祥 郡有剡薦

    양종윤梁鍾潤 : 자는 찬지. 본관은 남원. 효자 원하의 증손이다. 모친이 병이 나자 눈 덮힌 동산에서 파를 캐내고 얼어붙은 시내에서 고기를 잡아 구환하였다. 부친이 지붕 위에 올라갔다가 떨어져 회복하기 힘든 지경에 이르자 낮으로는 백방을 약을 구하고 밤으로는 칠성에게 기도하여 이로 인해 완전히 회복하였다. 증조와 함께 같은 정려에 들어있다. /字贊之 南原人 孝子源河曾孫 母病雪園得蔥 氷川得魚 父升屋而墮 至於難救 晝求百方 夜禱七星 因得完復 與曾祖旌閭同무

    오석한吳錫漢 : 자는 윤구. 호는 회은. 본관은 함양.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지극한 효로 부모를 섬겼다. 밭 갈고 나무하는 것을 업으로 삼아 부모를 봉양하였다. 상을 당하매 지극히 슬퍼함이 예법을 넘어섰다. 매년 제사에는 목욕제계하고 지냈는데 종신토록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 처 함창김씨 또한 효부로써 칭송받았다. 그 일이 오륜록에 실려있다. /字允九 號晦隱 咸陽人 家素貧구 事親至孝 耕樵爲業 俱養志體 丁憂哀毁逾制 每當忌祭 淨潔致齊 終身不懈 其配咸昌金氏 亦以孝婦見稱 事載五倫錄

    오성복吳成福 : 자는 성기. 호는 수승재. 본관은 함양. 동몽교관을 지냈다. 천성이 참으로 효성스러웠다. 고기잡고 나무하고 밭 갈고 누에를 치며 부모를 모셨다. 3년 동안 시묘하니 무릎 닿은 자리에 구덩이가 파여 풀이 자라지 않았다. 정려는 마령면 평지리의 뒤에 있고 7대조 빈(玭)의 충려가 같은 지붕아래 모셔져 있다. /字聖基 號修承齋 咸陽人 童蒙敎官 天性純孝 漁樵耕桑 以資養親 三年居廬 膝處成坎 草不長芽 旌閭在馬靈面平地里后 與七代祖正字 忠旌同廡

    왕응엽王應燁 : 본관은 개성. 고려충정왕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극진히 효도하였다. 그 부친이 병들자 수 년 동안 변을 맛보고 병증을 알아보았으며 얼음을 두드려 잉어를 얻었다. 돌아갈 기미가 있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여 3일을 연명케 하였다. 상을 당해 3년을 예법에 따랐으며 군과 도에 거듭 천장(薦狀)이 있었다. /貫開城 高麗忠定王后 自幼誠孝 其父영疾 數年嘗糞驗症 叩氷得노 幾至殞絶 裂指注血 回甦3日 丁憂三年遵禮 累有郡道狀

    유관열劉寬烈 : 본관은 강릉. 문희 창의 후손으로 통정대부였다. 효성이 지극하였다. 12세에 모친의 다리가 부어올라 개를 잡으려 하였으나 이루지 못해 이웃사람이 잡아주었고 이것을 삶아 드리니 효험이 있었다. 또 부친이 학질에 걸려 소고기를 원하자 10리를 걸어 소고기를 사왔으며 조석을 가리지 않고 부모를 돌보니 사람들이 그 봉양하는 뜻을 칭송하였다. /貫江陵 文僖창后 通政大夫誠孝根天 年十二 其母內瘇 屠狗未果 隣人替屠 烹進收效 且父病학 願食牛肉 買肉十里 每不分晨夕 人稱養志

    유대겸兪大謙 : 자는 자익. 호는 용강. 본관은 천녕. 사육신 충목 응부의 8세손이다. 7세에 능히 효경을 읽었다. 부친이 병이 드니 하늘에 빌며 변을 맛보아 약을 택하고 손가락을 찢어 피를 먹이고 허벅지 살을 떼어 먹이니 5일간 연명하였다. 여막에 거하면서 예법에 따랐다. 정려는 용담면 호미동에 있다. /字子益 號龍岡 川寧人 六臣忠穆應孚八世孫 七歲能通孝經 親癠禱天 嘗糞裂指 割股甦延五日 居廬遵禮 旌閭在龍潭面虎尾洞

    유말생劉唜生 : 어미의 병에 그 분을 맛보고 약을 올렸다. /母病嘗糞進藥

    유명순劉命順 : 본관은 강릉 문희 창의 후손이다.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그 부친이 부스럼병이 났는데 배불리 먹기 힘들자 넙적다리살을 떼어 국을 끓여 드리니 점차 효험이 있었다. 그 후에 다시 병이 나 죽을 지경에 이르러 또 넙적다리살을 떼어 드리니 이내 다시 하늘의 화답이 있었다. 유림에서 누차 천장(薦狀)하였다. /貫江陵 文僖敞后 誠孝根天 其父病뇌 成脹難保 割其股肉 和羹而進 漸得收效 其後宿수 更肆幾至屬纊又割股和食 乃復天和 累有儒狀

    윤덕상尹德上 : 어미의 병에 단지하니 3일만에 활력을 되찾았다. /母病斷指 三日得活

    이광효李光孝 : 본관은 진안. 직제학 교의 후손이며 양주의 아들이다. 집안이 가난하여 부지런히 농사를 지어 변변치 않은 음식이나마 빠뜨리지 않고 드리므로 자식의 도리를 다하였다. 모친이 병으로 위급한 지경에 이르자 손가락에서 피를 내어 3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군과 도에서 거듭 가상하다고 제사(題辭)하였다. /鎭安人 直提學校后 陽周子 家勢貧구 勤力耕田 以繼菽水之供 能成子職 母疾危重 指注血命延3日 郡道累有嘉題

    이구채李龜彩 : 본관은 연안. 모암 언폭의 5대손이다.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부모를 잘 봉양하여 맛있는 음식을 끊이지 않게 하였다. 부친이 병이 들자 약시중을 극진히 하였다. 상을 당하여 지극히 슬퍼하매 예법을 넘어섰고, 장사와 제사를 예법에 맞게 치루었다. 그 일이 삼강록, 오륜록에 실려 있다. /延安人 慕菴彦幅五代孫 家貧養親 甘旨不絶 父病侍湯 靡不庸極 遭艱哀毁逾制 葬祭一導禮制 事載三綱錄 五倫錄

    이규진李圭鎭 : 자는 성국. 호는 오석. 본관은 경주로서 고려 좌복사 열헌 핵의 후손이다. 부친이 학질에 걸려 7년 동안 백약이 무효였다. 입산하여 백일기도를 올리니 산삼을 얻어 차도를 보았다. 다시 병이 심해지자 단지하여 피를 넣어주고 5일을 연명하게 하였다. 고을에서 칭송하였으며 유림에서 천장(薦狀)을 올렸다. /字聖國 號梧石 慶州人 高麗左僕射悅軒翮后 父罹瘧七載 百藥無效 入山百日禱祭 得山蔘供之卽差 又病劇斷指注血得甦五日 鄕隣稱歎 儒林薦狀

    이기만李基滿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보의 후손이며 병윤의 아들이다. 힘써 농사지어 부모를 봉양하였다. 모친이 병환이 나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넣어주니 소생하여 3일간을 연명했다. 그 처도 손가락을 갈랐으니 부부가 지극한 효성이라 하여 인근 동리에서 감탄하였다. /全州人 孝寧大君補后 柄允子 躬耕南山 以供兩親 母病斷指出血延甦3日 其妻裂指 夫婦誠孝 隣里感歎

    이대흘李大屹 : 일찌기 그 아비를 여의고 효성으로 그 어미를 봉양하던 중 어미가 병이 들자 손가락을 잘라 소생시켰다. 정려와 효자문이 세워졌다. /早喪其父 孝養其母 母病斷指得甦旌表其門

    이도문李道文 : 자는 선일. 호는 소능. 효자 선범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부모를 지극하게 섬겼다. 15세에 조모가 임종하려하자 손가락을 갈라 피를 먹이니 수일을 연명했고 마침내 돌아가자 슬퍼함이 더욱 깊었다. 유생들이 올린 통문과 천장(薦狀)이 군에 많이 쌓였다. 이 일이 삼강록에 실려있다. /字善日 號小能 孝子先範子 自幼事親至孝 年十五祖母臨終裂指注血 以延數日及其親沒 哀毁尤篤 郡狀儒通積軸 事載三綱錄

    이도석李道錫 : 감찰사에 추증. 본관은 성산. 흥안군 제의 후손으로 추강 창의 10세손이다. 모친상을 당하여 극진히 예법에 따라 장사지냈다. 부친이 병들어 위독하자 변을 맛보고 증험하였으며 손가락에서 피를 내어 먹이니 수일을 연명하였다. 상을 당해 여묘하면서 머리를 빗지 않고 음식은 반드시 간소하게 먹었다. 유림들의 천장(薦狀)이 많이 쌓였다. /贈監察 星山人 興安君濟后 楸崗昌十世孫 遭內艱克遵禮制 父病危重 嘗糞驗수 血指注口延甦數日 遭憂居廬 髧不梳食必淡 儒狀積軸

    이동수李東守 : 본관은 전주. 천자가 순수하고 효성스러웠으며 지극 정성으로 부모를 섬겼다. 부친이 풍환으로 여러해를 누워있자 자신의 몸으로 대신할 것을 기도하였다. 상을 당해 지극히 슬퍼하여 극진한 예를 다하니 고을에서 칭송하며 감탄하였다. 일이 오륜행실록에 실려있고 또 포장이 있다. /全州人 天姿純孝 事親盡誠 父以風痺委席數載 願以身代 丁憂哀毁盡禮 鄕里稱歎 事載五倫行實錄 且有褒狀

    이문구李汶九 : 본관은 연안. 강원관찰사 귀산의 후손이다. 성정이 순수하고 마음이 도타웠다. 부모를 사랑하여 아침 저녁으로 자리를 살폈으며 정성을 다해 게으름을 피우지 않았다. 부친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베어 소생하게 하였고 그 상을 당해 예법을 따랐다. 매년 기일에는 청소하고 목욕재계하여 몸소 음식을 장만했다. 무성서원에 통장이 있다. /延安人 江原觀察貴山后 性純心篤 能知愛親 晨昏定省 탄誠靡懈 親제危劇 斫指得甦 丁憂哀毁遵禮 每當忌日 灑掃齋沐 躬自監임 有武城書院通狀

    이민신李民信 : 호는 송촌. 본관은 전의. 타고난 천자가 빼어나게 총명하였다. 부친이 병들자 지극 정성으로 힘을 다했다. 상을 당하여 묘 옆에 여막을 짓고 아침 저녁으로 곡하며 3년을 마치니 고을에서 거듭 영읍에 천장(薦狀)을 올려 가상하다고 제사(題辭)하였다. /號松村 全義人 天姿穎悟 親有疾病 極力盡誠 丁憂廬於墓側 晨夕哭泣 以終三年 鄕里累呈營邑有嘉尙之題

    이병룡李炳龍 : 자는 운익. 호는 괴은재. 본관은 전주. 완창대군의 아들 흥지의 후손이다. 효행이 탁이하므로 읍에서 도에 천장(薦狀)을 올려 여러번 포제하였다. 오륜행실중간소에서 비각을 세우고 포장하자고 하였다. /字雲翊 號槐隱齋 全州人 完昌大君子興之后 孝行卓異 邑薦道報 累承褒題 自五倫行實重刊所 有立碑閣褒狀

    이병하李炳厦 : 자는 명오. 호는 횡계. 본관은 연안. 좌의정 원발의 후손이며 효자 통정대부 영구의 아들이다. 집안이 가난하여 주경야독하면서도 부모의 몸과 마음을 봉양하는데 지극한 정성을 다했다. 전상과 후상을 당하여 수척해진 몸으로도 조석으로 성묘하니 향리에서 칭송하였다. 이 일이 오륜행실록에 실려있다. /字明五 號橫溪 延安人 左議政元發后 孝子通政永九子 家素貧구 晝耕夜讀 養親志體 靡所不建 前喪後喪 行素瘠毁 朝夕省掃 鄕黨稱歎 事載五倫行實錄

    이병환李炳煥 : 본관은 연안. 관찰사 귀산의 후손이며 효자 문구의 아들이다. 부모를 효로써 섬겨 몸을 봉양하고 뜻에 순응하여 선조의 가르침을 이었다. 약을 다릴 때는 항상 근심하며 지켰고 상을 당해서는 예법에 따라 장사하였다. 조석으로 곡하며 제사지었으며 초하루와 보름에는 청소하였다. 고을에서 그 아름다움을 칭송하였으며 남원향교에 통문이 있다. /延安人 觀察貴山后 孝子汶九子 事親以孝 養體順志 承襲先人 在侍湯 恒時憂懼 遭憂喪葬遵禮 朝夕哭奠 朔望展掃 鄕里稱美 有南原鄕校通狀

    이봉래李鳳來 : 호는 괴원. 본관은 전의. 진사 언철의 10세손이다. 부친의 병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였고, 50이 넘은 나이임에도 모친상을 당하였는데 비록 엄동이나 염천이나 여막을 벗어나지 않았고 상복을 벗지도 않았다. 소시에는 근시가 있었는데 중년에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다가 늙어서 다시 눈이 밝아지자 지극한 정성을 신명이 알고 도운 바라 하였다. /號愧遠 全義人 進士彦哲十世孫 父病斷指注血 年逾五十 丁內艱 雖隆寒盛暑 不離苦塊 不脫帶질 小少近視 中年폐昏 到老復明 人稱誠孝所感神明所佑

    이봉술李鳳述 : 호는 신암재.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보의 후손이며 창순의 아들이다. 천품이 탁이하였다.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그 처 여씨와 함께 부모를 잘 봉양하였다. 일찍이 부친상을 당해 편모를 시중하였는데, 나물을 캐고 고기를 잡아 맛있는 음식을 드렸다. 모친의 병이 수년이었으나 약시중을 들고 옆에서 떠나지 않았다. 상을 당하매 초종간 예법에 따랐다. /號薪巖齋 全州人 孝寧大君補后 昌淳子 天稟卓異 家素貧寒 與其妻余氏 善養父母 早喪所호 偏侍老母 採山漁水 以供甘旨 母病數年 侍湯不離 初終遵禮

    이석의李碩儀 : 본관은 전주. 효령